목차
동부산에도 찾아온 녹색 물결…좌광천이 정원이 되다
부산 북부 지역의 중심, 정관읍을 가로지르는 좌광천은 오랜 세월 동안 지역 주민들에게 산책과 휴식의 공간으로 큰 사랑을 받아왔다. 이제 이곳은 단순한 수변 공간을 넘어서, 부산 제2호 지방정원으로 새롭게 변모하게 된다.
부산시가 낙동강 생태정원에 이어 두 번째로 지정한 공식 지방정원으로, 동부산권에서는 최초의 지방정원이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이번 등록을 통해 정관은 자연과 문화가 조화롭게 어우러진 정원 도시의 상징적인 장소로 자리잡게 되며, 이는 기장 지역의 생태문화 가치 확산과 관광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정관의 변화는 지역 주민들과 방문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것이다.
좌광천 지방정원, 어떻게 꾸며지나?
좌광천 지방정원은 정관읍의 모전교에서 달음교까지 이어지는 3.5km의 구간에 조성될 예정이다. 이 정원은 총 면적이 약 12만 2,000㎡에 달하며, 4개의 테마 공원으로 나뉘어 각기 다른 의미를 담고 있다.
첫 번째, '포근함의 정원'은 팜파스와 같은 부드러운 식물로 따뜻함을 표현한다. 두 번째, '이로움의 정원'은 허브와 약초 등 치유의 식물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건강을 기원한다. 세 번째, '반가움의 정원'은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방문객에게 친근함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그리움의 정원'은 고향과 향수를 떠올리게 하는 감성적인 연출로, 방문객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한다.
이러한 테마 정원은 단순한 관람을 넘어 자연 치유, 감성 체험, 그리고 공동체 활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정원과 연결된 주차장, 화장실, 휴게시설 등 다양한 편의시설도 함께 마련될 예정이다.
좌광천을 정원으로…기장은 어떻게 준비했나?
기장군은 좌광천을 지방정원으로 지정하기 위해 2025년 1월 1일에 ‘좌광천정원팀’을 새롭게 만들었다. 또한, 관련 조례를 제정하여 체계적 운영의 기초를 다졌다. 특히 기장군은 야생화와 사계절 꽃길을 지속적으로 조성해온 경험을 바탕으로, 좌광천을 생태문화와 인간이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정원으로 발전시키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정원의 조성 및 운영에 있어서는 주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도 선보일 예정이다. 산책, 원예 체험, 소규모 음악회 등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콘텐츠를 중심으로 도심 속 정원 문화를 확산시킬 방침이다. 이러한 노력들은 기장군의 정원 문화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녹색도시 부산’ 확장의 시금석 될까?
부산시는 2023년에 낙동강 생태정원을 지방정원으로 공식 등록하며 '정원도시 부산'이라는 브랜드 전략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이와 함께 좌광천은 동부산권으로 그 전략을 확대하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기자의 시선으로 보면, 좌광천은 단순한 도심 하천이 아닌 ‘기장다운 미래 정원의 실험장’이다.
부산이 서부는 낙동강, 동부는 좌광천을 중심으로
생태축을 확장한다면, 도시의 균형 발전과 지역 정체성 강화
에 큰 힘이 될 것이다.
좌광천 지방정원은 부산의 자연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며, 정원 문화의 확산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기장 좌광천, 걷고 싶은 ‘도심 속 정원’으로
제2호 지방정원으로 등록된 좌광천은 이제 생태와 문화가 조화를 이루는 장소로 변화할 예정이다. 기장군과 부산시는 협력을 통해 조례 제정과 전담팀 구성 등 체계적인 준비를 하고 있다.
이 정원은 단순한 관람 공간을 넘어 주민들의 일상 속에서 힐링을 제공하는 생활형 공간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앞으로 좌광천은 단순한 하천이 아닌 부산 시민의 감성과 삶을 담아내는 도시의 정원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기장좌광천, #좌광천지방정원, #부산제2호지방정원, #정관읍정원, #부산정원문화, #부산지방정원, #기장정원도시, #좌광천산책로, #부산생태문화, #도심속정원, #부산가볼만한곳, #기장가볼만한곳, #정원조성사업, #생활형정원, #부산녹색도시, #동부산관광, #부산도시브랜드, #부산힐링명소, #기장생태관광, #정관읍개발, #정관읍힐링공간, #포근함의정원, #반가움의정원, #이로움의정원, #그리움의정원, #도시재생정원, #친수공간활용, #지방정원정책, #정원문화확산, #부산시정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