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에코델타시티역 신설, 주요 기관 협약 체결! 위치와 개통 일정은?


서부산 교통혁신, 에코델타시티역 본격 추진

에코델타시티역 신설

부산시는 한국수자원공사, 국가철도공단, 한국철도공사와 협력하여 ‘부전~마산 복선전철 에코델타시티 역사(가칭)’ 신설을 위한 위·수탁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이번 협약은 각 기관의 역할을 명확히 하여, 2028년 하반기 준공을 목표로 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에코델타시티역은 서부산의 복합환승 거점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교통 편의성을 높이고 지역 균형 발전을 촉진하는 중요한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






함께보면 좋은 글





협약 내용과 기관별 역할



에코델타시티역 신설

이번 협약은 사업을 추진하는 주체와 행정 지원의 범위를 명확히 규정한 점이 두드러진다.

부산시는 한국수자원공사와 협력하여 인허가 및 민원 처리, 그리고 지장물 이설 등 행정 지원을 맡는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사업비 전액인 682억 원을 부담하며 사업의 전체 관리를 책임진다. 국가철도공단은 설계와 시공, 인허가 신청 등을 통해 사업을 시행하고, 한국철도공사는 역사 운영과 유지관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역할 분담은 사업 추진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기관 간 협력 체계를 한층 더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업 추진 경과와 향후 일정

부전-마산 복선전철


에코델타시티의 역사적인 신설은 2014년 실시계획에 포함된 이후 여러 번의 타당성 검토를 진행해왔다.

첫 번째 타당성 검토는 2016년에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B/C 1.11로 평가되었다. 이후 2025년 2월에는 재조사가 완료되어 B/C 1.33이라는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같은 해 3월에는 국토부의 승인을 받았고, 9월에는 위·수탁 협약이 체결되었다.

앞으로의 일정으로는 2025년 하반기부터 실시설계에 착수하며, 2026년 하반기에는 공사가 시작될 예정이다. 그리고 2028년 하반기에는 준공이 완료될 계획이다.

에코델타시티역 신설




위치와 연계 교통망

에코델타시티역 신설


에코델타시티 유보지 지역에 새로운 역이 설계되고 있다. 이 역은 단순한 철도역이 아닌 복합환승센터로 발전할 예정이며, 정확한 위치는 실시설계가 진행되면서 최종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부전~마산 복선전철과 도시철도 강서선(트램) 간의 원활한 환승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며, 가덕도 신공항 철도(부산신항선)와의 연결도 계획 중이다.

이러한 교통 인프라의 구축으로 에코델타시티역은 서부산의 주요 교통 허브로 자리잡을 것이며, 향후 역세권 개발과 함께 경제적 영향력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에코델타시티역 신설




기대 효과: 생활권 확장과 균형발전

에코델타시티역 신설


에코델타시티역이 개통되면 부전역까지의 이동 시간이 10분 정도로 단축된다. 이로 인해 지역 주민들의 교통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단순히 이동 편의성을 높이는 것에 그치지 않고, 서부산의 접근성을 강화하며 동서 간 균형 발전을 이끌어낼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제2에코델타시티 개발과 함께 주거, 상업, 산업 기능이 융합된 신성장 거점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결론: 서부산 교통·경제의 게임체인저

image

에코델타시티의 역사 신설은 단순한 철도 프로젝트를 넘어서, 서부산의 교통 체계와 도시 개발을 통합하는 중요한 전략적 사업이다. 부산시와 관련 기관들이 협력하여 2028년 하반기 준공을 목표로 신속하게 진행하고 있으며, 이는 가덕신공항 개항과의 시너지를 통해 더욱 큰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에코델타시티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3747-15



#에코델타시티, #에코델타시티역, #부산교통, #부산철도, #부전마산복선전철, #국가철도공단, #한국철도공사, #한국수자원공사, #부산시, #복합환승센터, #역세권개발, #서부산교통, #부산균형발전, #강서선, #가덕도신공항철도, #부산도시철도, #부전역, #마산복선전철, #부산경제, #부산인프라, #부산교통호재, #부산개발계획, #부산철도역, #부산도시계획, #2030부산, #부산생활권, #부산신항, #부산호재, #부산역세권, #서부산발전


자주 묻는 질문(FAQ)

Q. 부산 에코델타시티역 신설 사업의 주요 협약 내용은 무엇인가요?
부산시와 한국수자원공사, 국가철도공단, 한국철도공사가 협력해 2028년 준공 목표로 에코델타시티역 신설을 추진합니다.

이번 협약은 부산시, 한국수자원공사, 국가철도공단, 한국철도공사가 각자의 역할을 명확히 하여 에코델타시티역 신설 사업을 본격 추진하는 내용입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682억 원의 사업비를 부담하고 사업 전반을 관리하며, 국가철도공단은 설계와 시공 등 사업 시행을 담당하고, 한국철도공사는 역사 운영과 유지관리를 맡습니다. 부산시는 인허가와 민원처리 등 행정 지원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사업 추진의 효율성과 협력 체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Q. 에코델타시티역 신설 사업의 추진 경과와 향후 일정은 어떻게 되나요?
2014년 계획 포함 후 타당성 검토를 거쳐 2025년부터 설계 및 공사 착수, 2028년 하반기 완공 예정입니다.

에코델타시티역 신설은 2014년 실시계획에 포함된 이후 2016년과 2025년에 타당성 조사가 진행되어 모두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습니다. 2025년 3월 국토교통부의 승인을 거쳐 같은 해 9월 협약이 체결되었고, 2025년 하반기부터 실시설계가 착수됩니다. 이후 2026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공사가 시작될 예정이며, 2028년 하반기에 완공이 목표입니다. 이 일정으로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어 서부산 교통 인프라에 큰 변화를 가져올 전망입니다.

Q. 에코델타시티역의 위치와 연계되는 교통망은 어떻게 계획되어 있나요?
에코델타시티 유보지에 복합환승센터로 조성되며 부전~마산 복선전철, 강서선 트램, 가덕도 신공항 철도와 연계됩니다.

에코델타시티역은 유휴지인 에코델타시티 유보지에 신설되며 단순 역사가 아닌 복합환승센터로 설계될 예정입니다. 부전~마산 복선전철과 도시철도 강서선 트램 간 원활한 환승이 가능하도록 계획되어 있으며, 가덕도 신공항 철도(부산신항선)와의 연결도 추진 중입니다. 복합적 교통망 구축으로 서부산의 주요 교통 허브로서 기능하며, 인근 역세권 개발 및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Q. 에코델타시티역 개통 시 기대되는 효과는 무엇인가요?
교통 편의성이 향상되고 서부산 생활권 확대와 지역 균형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에코델타시티역 개통으로 부전역까지 이동 시간이 약 10분 단축되어 주민들의 교통 이용 편리성이 크게 늘어납니다. 이는 단순 이동 시간 감소를 넘어서 서부산 지역의 접근성을 강화하고 동서 간 균형 발전을 도모하는 중요한 계기가 됩니다. 또한 제2에코델타시티 개발과 연계해 주거, 상업, 산업 기능이 융합된 신성장 거점으로 부상하며 지역경제 활력 증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됩니다.

Q. 부산시와 관련 기관들의 역할 분담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부산시는 행정 지원, 한국수자원공사는 사업비 부담 및 관리, 국가철도공단은 설계·시공, 한국철도공사는 운영·유지 관리를 맡습니다.

부산시는 인허가, 민원 처리, 지장물 이설 등 행정적 지원을 담당하여 원활한 사업 추진을 돕습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전체 사업비 682억 원을 부담하며 사업 전 과정을 총괄 관리합니다. 국가철도공단은 설계와 시공을 비롯하여 인허가 신청 등 사업시행 업무를 맡아 실행 주체 역할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한국철도공사는 완공 후 역사 운영과 유지관리를 책임져 사업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합니다. 이러한 역할 분담은 사업 효율성과 기관 간 협력 강화를 위한 핵심 구조입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