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전주의 새로운 심장, 옛 대한방직 부지의 화려한 변신

전주시의 오랜 숙원 사업인 옛 대한방직 공장부지가 드디어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2018년 공장 가동이 중단된 이후, 이 장소는 도심 속에서 방치되어 흉물로 여겨졌다. 그러나 이제 ‘전주 관광타워 복합개발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이 프로젝트는 ‘전주 익스트림 타워’로 알려져 있으며, 단순한 재개발이 아닌 470m 높이의 초고층 랜드마크 타워와 대규모 주거 및 상업 시설이 결합된 복합 문화 공간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전주는 새로운 스카이라인을 형성하고 구도심과 신도심을 연결하는 경제 및 관광의 중심축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이 사업은 필수적인 환경영향평가 절차에 착수하면서 더욱 구체적인 계획으로 나아가고 있다. 전주시민과 관광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이 프로젝트가 어떻게 발전해 나갈지 주목된다.
전주 관광타워 복합개발 사업의 개요와 배경

이 프로젝트는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3가 151번지에 위치한 대한방직 공장 부지에서 진행된다. 총 면적은 230,565㎡에 이르는 복합개발 사업으로, 지역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주 경제의 중요한 역할을 했던 대한방직 공장이 2018년에 문을 닫은 후, 그 자리는 폐허로 남아 도시 경관을 해치고 안전 문제를 일으키는 상황이었다. 이에 (주)자광은 해당 부지를 인수하여 도시의 환경을 개선하고, 다양한 커뮤니티 간의 소통을 촉진할 수 있는 새로운 랜드마크를 만들기 위한 사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러한 노력은 전주 지역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전주 관광타워의 복합개발 사업은 관광 인프라를 확충하여 전주를 주요 관광지로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역사와 문화를 상업적으로 융합하여 지역 경제를 더욱 활성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구도심과 서부신시가지를 연결하는 문화 벨트를 조성함으로써 전주시 전역의 균형 잡힌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노력은 지역 주민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470m 초고층 랜드마크 타워와 주요 건축 계획

전주 익스트림 타워는 470m 높이의 관망탑을 중심으로 한 대표적인 랜드마크이다. 이곳은 단순한 전망대를 뛰어넘어 전주 전경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는 관광과 휴식을 위한 공간으로 제작되었다. 스카이라운지와 카페 등 다양한 편의시설이 포함된 복합 문화 공간으로 계획된 점이 특징이다.
조감도를 살펴보면, 우아한 곡선으로 디자인된 타워가 하늘을 향해 우뚝 솟아 있으며, 그 주위에는 현대적인 아파트 단지와 자연 친화적인 녹지 공간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다. 이는 전주시의 새로운 스카이라인을 만들어내며, 지역의 상징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건축 계획에 의하면, 해당 사업 부지에는 타워 외에도 지하 5층에서 지상 49층에 걸쳐 총 3,536세대의 공동주택이 들어설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호텔과 대형 쇼핑몰, 영화관 등 다양한 문화 및 집회시설이 마련된다.
주거, 상업, 문화, 관광 기능이 조화롭게 결합된 이러한 관광지 계획은 방문객과 거주자 모두의 만족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결과적으로, 이 지역은 24시간 생동감 넘치는 도시 공간으로 변화하게 될 것이다.
체계적인 도시 설계를 위한 토지이용계획

효과적인 복합개발의 핵심 요소는 체계적인 토지 활용 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주변 생태계와 경관과의 조화를 최우선으로 반영하여 토지 활용 계획을 수립했다. 전체 면적은 230,565㎡로, 크게 세 가지 용도로 나뉜다.
첫 번째로, 복합 시설 용지가 100,785㎡(43.71%)를 차지하며, 이곳에는 랜드마크 타워 및 다양한 상업 시설, 숙박 시설이 포함된다. 상업 기능이 집중된 이 지역은 많은 사람들의 방문을 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두 번째로, 주거 시설 용지는 98,815㎡(42.86%)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곳에는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하는 공동주택 단지가 조성될 예정이다. 주민들의 생활 편의성을 고려한 설계가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전체 면적의 13.43%에 해당하는 30,965㎡는 공공 기여 시설 부지로 할당된다. 이 공간에는 근린공원, 공공청사, 주차장, 도로, 경관 녹지 등이 포함되며, 개발 이익을 시민들과 공유하고 도시의 공공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사업 추진의 필수 관문, 환경영향평가 진행 현황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에서 환경영향평가는 필수적인 법적 절차로 자리잡고 있다. 이번 사업은 전북특별자치도 환경영향평가 조례에 명시된 기준인 15만㎡를 초과함에 따라 정식으로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게 되었다.
특히 이번 프로젝트는 평가대상 최소 규모의 153.71%에 해당하며, 사업 부지 내에는 생태자연도 1등급 권역이나 습지 보호지역 등 법적으로 보호받아야 할 지역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약식절차에 따른 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하게 되었다.
2024년에는 환경영향평가협의회에서 심의가 시작될 예정이며, 이와 관련한 절차들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은 사업의 투명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미래를 향한 전주의 담대한 도약, 익스트림 타워

대한방직 공장부지의 복합개발 프로젝트는 오래된 산업 지역을 전주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대규모 계획이다.
470m 높이의 랜드마크 타워를 중심으로 주거, 상업, 문화가 어우러진 이 공간은 단순한 건축물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는 전주의 새로운 상징으로 자리잡으며 시민들에게 자부심을 안겨줄 것이다.

체계적인 토지 활용 계획과 철저한 환경 영향 평가를 근거로 진행되기 때문에, 사람과 자연이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의 좋은 사례로 남을 것으로 보인다.
전주 익스트림 타워는 전주 지역의 관광과 경제에 신선한 활력을 제공하고, 도시의 품격을 한층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전주 관광타워 복합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
제2장 사업의 개요
2.1 배경 및 목적
o 사업지구는 구 대한방직공장 부지로 2018년 공장가동 중단 후 폐건물의 장기간 존치로 인한 도시환경 저해 요소를 해소하기 위해 타워복합개발을 추진하여 복합적인 커뮤니티의 상호작용 및 지역의 상징성을 부여하는 랜드마크를 창출하고자 함
o 또한, 관광인프라 구축을 통해 관광거점도시로 자리매김하고 구도심과 신도심을 잇는 복합 문화 벨트를 조성, 역사문화와 상업의 융합으로 경제기반을 강화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됨

2.3 추진경위 및 계획
o 1975. 08. : 대한방직 전주공장 조업개시
o 1994. 10. : 전주도시기본계획(변경) 승인(대한방직부지 : 주거용지)
o 2002. 06. : 서부신시가지 도시개발구역 지정(대한방직 구역계에서 제척)
o 2018. 10. : 대한방직 부지 매입(자광)
o 2020. 02. ~ 2021. 02. : 시민공론화위원회(전주시, 옛 대한방직 부지개발사업)
o 2023. 09. :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운영지침 제정(전주시)
o 2023. 09. :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대상지 선정 신청서 제출(자광→전주시)
o 2023. 11. ~ 2024. 01. : 관련부서(기관) 협의
o 2023. 12. ~ 2024. 06. : 교통영향평가 심의위원회 자문 및 심의
o 2024. 02. : 도시계획위원회 및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자문(사전협상대상지 선정)
o 2024. 02. : 사전협상대상지 선정
o 2024. 03. : 경관위원회 자문
o 2024. 03. : 협상제안서 제출 (자광→전주시)
o 2024. 03. : 관련부서(기관) 협의
o 2024. 04. : 주민설명회 개최
o 2024. 04. ~ 06. : 협상단 구성, 협상조정협의회 회의 및 감정평가 시행
o 2024. 04. : 환경영향평가협의회 심의(04.22~05.03)
o 2024. 05. :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공고(24.06.~29.06.)
o 2024. 06. : 전주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자문
o 2024. 06. :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 완료
o 2024. 06. : 전략환경영향평가항목등의 결정내용 공개(06.12~06.26)
o 2024. 06. 24 : 교통영향평가 심의(3차) 개최
o 2024. 07. : 전주시 도시기본계획 및 도시관리계획 결정(변경) 입안
o 2024. 07. 26 :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 공고·공람(2024.07.26~08.15)
o 2024. 07. 31 :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 접수
o 2024. 08. 07 : 설명회 개최(15시, 전주시 완산구청 8층 강당)
o 2024. 08. 30 : 주민 등의 의견 및 반영 여부 공개(2024.08.30~09.13)
o 2024. 10. 23 : 전략환경영향평가 협의 완료
o 2024. 12. : 도시계획위원회 및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
o 2025. 01. 06 : 전주 도시관리계획(용도지역, 용도지구,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계획, 도로) 결정(변경) 및 지형도면 고시 (전주시 고시 제2025-3호)
o 2025. 03. 12 : 주택건설사업계획 통합심의(1차) 완료
o 2025. 06. : 주택건설사업계획 통합심의(2차) 신청
o 2025. 07. : 환경영향평가 접수(예정)

2.4 주요 사업내용
o 사 업 명 : 전주 관광타워 복합개발사업
o 위 치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3가 151번지 일대
o 면 적 : 230,565㎡(사업대지 199,600㎡, 기부채납 30,965㎡)
o 사업기간 : 2023.09 ~ 2030.06
o 사업시행자 : (주)자광
o 승 인 기 관 : 전주시
o 협 의 기 관 : 전라북도지사


가. 토지이용계획
o 사업지구 토지이용은 주변 생태특성 및 경관과 조화를 이루어 도시환경 및 환경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음
o 이에 따라, 복합시설용지(일반상업지역) 100,785㎡, 주거시설용지(준주거지역) 98,815㎡, 공공기여시설 30,965㎡로 계획함
<표 2.4-1> 토지이용계획
구분 | 면적(㎡) | | | 구성비(%) | 비 고 |
| 기 정 | 변경(금회) | 증·감 | | |
복합시설용지 | 판매시설 및 오피스텔 zone | 15,923 | 15,923 | - | 6.91 |
| 숙박시설 및 타워 zone | 23,795 | 23,795 | - | 10.32 |
| 공개공지 zone | 61,067 | 61,067 | - | 26.49 |
소 계 | 100,785 | 100,785 | - | 43.71 | |
주거시설용지 | 주거시설 zone | 71,842 | 71,842 | - | 31.16 |
| 공개공지 zone | 26,973 | 26,973 | - | 11.70 |
소 계 | 98,815 | 98,815 | - | 42.86 | |
공공기여시설 | 공공시설용지 | 11,300 | 11,300 | - | 4.90 |
기반시설 | 19,665 | 19,665 | - | 8.53 | 도로, 경관녹지 |
소 계 | 30,965 | 30,965 | - | 13.43 | |
합 계 | 230,565 | 230,565 | - | 100.00 | |
주) 1. 공공시설용지 : 지상공원(당초 10,550㎡, 금회 10,610㎡), 공공청사(11,300㎡), 지하(공공청사(11,300㎡), 주차장(11,300㎡))
2. 기반시설 : 경관녹지 10,251㎡, 도로 9,414㎡

나. 건축계획
o 사업지구 내 건축물은 공동주택, 상업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숙박시설, 관광휴게시설 등 으로 건축면적 52,832.55㎡, 지상 45층, 지하 5층으로 계획하였음
<표 2.4-2> 건축개요
구분 | 내용 | 항목 | 수치 | 비 고 |
사업면적 | 지역·지구 | 일반상업지역, 준주거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 | | - |
| 사업대지면적 | 일반상업지역 | 100,785 ㎡ | - |
| | 준주거지역 | 98,815 ㎡ | - |
| | 소 계 | 199,600 ㎡ | - |
| 공공기여 | 공공시설용지 | 11,300 ㎡ | 공원, 공공청사, 주차장 |
| | 도 로 | 9,414 ㎡ | - |
| | 경관녹지 | 10,251 ㎡ | - |
| | 소 계 | 30,965 ㎡ | - |
| | 합 계 | 230,565 ㎡ | - |
건축면적 | 일반상업지역 | 34,621.26 ㎡ | | - |
| 준주거지역 | 22,941.54 ㎡ | | - |
| 합 계 | 57,562.80 ㎡ | | - |
건폐율 | 일반상업지역 | 34.35 % | | 법정 : 40 % |
| 준주거지역 | 23.22 % | | 법정 : 30 % |
| 합 계 | 28.84 % | | - |
연면적 | 일반상업지역 | 지하층 | 99,086.97 ㎡ | - |
| | 지상층 | 391,637.28 ㎡ | - |
| | 합 계 | 490,724.25 ㎡ | - |
| 준주거지역 | 지하층 | 526,538.41 ㎡ | - |
| | 지상층 | 312,739.08 ㎡ | - |
| | 합 계 | 839,277.49 ㎡ | - |
용적률 | 일반상업지역 | 98.32 % | | 법정 : 250 % |
| 준주거지역 | 530.15 % | | 법정 : 500 % |
| 합 계 | 312.10 % | | - |
조경면적 | 36,028.00 ㎡ 이상 (18.05%) | | | 법정 : 대지면적의 18% |
공개공지 | 79,840㎡ 이상(40.00%) | | | 법정 : 대지면적의 10% |
건축용도 | 공동주택 및 부대복리시설, 상업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숙박시설, 관광휴게시설 등 | | | - |
건축규모 | 일반상업지역 | 지하 5층 ~ 지상 8층 (최고 높이 470.00m) | | - |
| 준주거지역 | 지하 5층 ~ 지상 49층 (최고 높이 167.91m) | | - |
세대수 | 3,536 세대 | | | - |
주차대수 | 일반상업지역 | 5,315 대 | | 법정 : 2,042 대 |
| 준주거지역 | 7,097 대 | | 법정 : 4,906 대 |

<표 2.4-3> 용도별 세부면적
구분 | | | 지하층 | 지상층 | 합계 |
주거지역 | 주거 | 공동주택 | - | 523,001.46 | 523,001.46 |
| 부대복리시설 | 스카이라운지 및 카페 | - | 286.04 | 286.04 |
| | 게스트하우스 및 파티룸 | - | 1,326.67 | 1,326.67 |
| | 노인정 | - | 412.54 | 412.54 |
| | 어린이집 | - | 639.08 | 639.08 |
| | 맘스테이션 | - | 103.21 | 103.21 |
| | 다함께돌봄센터 | - | 115.26 | 115.26 |
| | 관리사무소 | - | 132.27 | 132.27 |
| | 방재실/MDF | - | 278.97 | 278.97 |
| | 작은도서관 | 565.31 | - | 565.31 |
| | 용역원 휴게실 | 65.21 | - | 65.21 |
| | 경비실 | - | 41.16 | 41.16 |
| | 주민운동시설 | 1,972.93 | - | 1,972.93 |
| | 주민공동시설 | 4,342.99 | - | 4,342.99 |
| | 소방창고 | - | 176.80 | 176.80 |
| | 소 계 | 6,946.44 | 526,513.46 | 533,459.90 |
| | 주차장 | 284,403.03 | - | 284,403.03 |
| | 기계, 전기, 발전기실 | 3,646.00 | - | 3,646.00 |
| | 세대창고 | 15,376.47 | - | 15,376.47 |
| | 소 계 | 303,425.50 | - | 303,425.50 |
| 근린생활시설 | 제1종 근린생활시설 | 1,353.32 | 24.96 | 1,378.28 |
| | 주차장 | 881.10 | - | 881.10 |
| | 기계,전기,발전기실 | 132.71 | - | 132.71 |
| | 소 계 | 2,367.13 | 24.96 | 2,392.09 |
| | 합 계 | 312,739.07 | 526,538.42 | 839,277.49 |
일반상업지역 | 위락시설(휴게관광시설) | 숙박시설 | 10,558.63 | 21,115.60 | 31,674.23 |
| | 관광탑 | - | 13,816.05 | 13,816.05 |
| | 포디움 | 19,920.64 | 7,293.35 | 27,213.99 |
| 업무시설 | 타워운영 | 1,748.16 | 203.74 | 1,951.90 |
| | 소 계 | 59,859.24 | 39,801.44 | 99,660.68 |
| 근린생활시설 | 제1종 근린생활시설 | - | 7,692.20 | 7,692.20 |
| 판매시설 | 판매시설-2 | 6,595.46 | - | 6,595.46 |
| | 판매시설-3 | 19,200.17 | 199.33 | 19,399.50 |
| 문화 및집회시설 | 영화관 | 7,555.40 | - | 7,555.40 |
| | 상점 | 332.19 | - | 332.19 |
| | 기계, 전기실 | 29,299.18 | 8,765.29 | 38,064.47 |
| | 지하주차장 | 236,568.18 | - | 236,568.18 |
| | 합 계 | 391,637.27 | 99,086.96 | 490,724.25 |
총 계 | | | 704,376.34 | 625,625.40 | 1,330,001.74 |








#전주익스트림타워, #전주관광타워, #대한방직부지, #전주개발, #전주부동산, #전주랜드마크, #470m타워, #복합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 #전주여행, #전주관광, #효자동개발, #자광, #전주아파트, #전주상가, #도시계획, #토지이용계획, #조감도, #전주핫플, #서부신시가지, #전주소식, #지역경제활성화, #랜드마크타워, #초고층빌딩, #전주개발호재, #전주투자, #전주시, #도시재생, #건축계획, #공공기여
자주 묻는 질문(FAQ)
Q. 전주 익스트림 관광타워 복합개발사업의 주요 목적은 무엇인가요?
대한방직 공장 부지에 470m 초고층 랜드마크 타워와 주거, 상업, 문화시설을 조성하여 전주를 관광과 경제 중심지로 만들기 위함입니다.
전주 익스트림 관광타워 복합개발사업은 2018년 가동이 중단된 옛 대한방직 공장 부지를 활용하여 도시환경을 개선하고 새로운 랜드마크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470m 높이의 초고층 타워를 중심으로 대규모 주거와 상업, 문화 복합 시설이 들어서며, 전주의 구도심과 신도심을 잇는 경제 및 관광의 중심축 역할을 할 예정입니다. 이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관광 인프라 확충에 기여하여 전주를 관광거점도시로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Q. 복합개발 사업 부지의 위치와 규모는 어떻게 되나요?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3가 151번지, 230,565㎡ 부지에서 진행되는 대규모 개발 사업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전북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3가 151번지 일대, 옛 대한방직 공장 부지에서 추진됩니다. 총 면적은 약 23만㎡로 매우 광범위하며, 복합시설용지, 주거시설용지, 공공기여시설 용지 등으로 체계적으로 토지가 활용됩니다. 구체적으로는 100,785㎡가 복합시설 용지(상업, 관광 등), 98,815㎡가 주거시설 용지, 30,965㎡가 공공기여 시설 용지로 계획되어 전주 도시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되었습니다.
Q. 전주 익스트림 타워의 주요 건축 및 시설 계획은 무엇인가요?
470m 높이의 랜드마크 타워에 스카이라운지, 카페 등 문화·휴식 공간과 3,500여 세대 공동주택, 쇼핑몰, 호텔 등이 조성됩니다.
전주 익스트림 타워는 높이 470m의 전망 타워로, 단순 관망 시설을 넘어 관광과 휴식을 위한 복합 문화 공간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우아한 곡선을 가진 타워 주변으로는 지하 5층에서 지상 49층 규모의 3,536세대 공동주택, 호텔, 대형 쇼핑몰, 영화관 등 다양한 문화 및 집회시설이 들어섭니다. 이는 주거, 상업, 문화, 관광 기능이 조화를 이루어 24시간 활기찬 도시 공간을 구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Q. 환경영향평가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
법적 기준을 충족해 약식절차 환경영향평가가 진행 중이며, 2024년 심의 및 주민참여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본 사업은 15만㎡를 초과하는 대규모 개발로, 전북도 환경영향평가 조례에 따라 환경영향평가를 실시 중입니다. 부지에는 생태자연도 1등급 권역이나 습지 보호지역이 없어 약식 절차로 평가가 진행됩니다. 2024년에는 환경영향평가협의회 심의, 주민설명회, 의견 수렴 절차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 공고와 설명회 등 투명한 절차를 거쳐 사업의 안정성과 환경 친화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Q. 이 사업이 전주 지역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기대 효과는 무엇인가요?
구도심과 신도심 연결, 관광인프라 확충 및 경제 활성화를 통해 균형 발전과 지역 자부심 증진에 기여할 것입니다.
전주 관광타워 복합개발사업은 폐공장 부지를 혁신적 랜드마크 공간으로 탈바꿈시켜 구도심과 신도심 간 문화벨트를 조성합니다. 관광 인프라를 강화함으로써 전주를 관광 거점 도시로 자리매김시키고, 역사문화와 상업 융합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합니다. 또한, 주민 생활 환경 개선과 도시 이미지를 높여 시민 자부심을 고취시키며,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의 모델로 역할할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