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김해 남부의 미래 주거·상업 중심축, 용두지구 개발사업 본격 추진

경상남도 김해시 내덕동 산64번지 일대에서 진행될 김해 용두지구 도시개발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이 프로젝트의 전체 면적은 약 46만9천㎡에 달하며, 사업 비용은 약 3,000억 원에 이른다. 경남개발공사와 김해시도시개발공사가 각각 60%와 40%의 지분으로 참여하는 공영개발 모델로 추진된다.
2024년부터 착수하여 2028년 말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는 이 사업은 김해시 남부생활권 내 장유, 율하, 신문지구와의 연계를 통해 진행되는 마지막 대규모 도시개발 프로젝트이다.
이를 통해 김해 남부권의 부도심 기능을 강화하고, 주거와 상업이 복합된 중심지를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주요 개발계획 및 기반시설 계획 변경 내용

이번 도시개발사업의 주요 목표는 다양한 기반시설을 통해 종합적이고 자족적인 주거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주거지 20만 537㎡, 상업지 1만 5,342㎡를 포함하여 도로, 공원, 학교, 유수지 등의 필수 요소를 계획하고 있다.
최근 개발계획의 변경과 실시계획 인가 고시에 따라 몇 가지 중요한 조정이 이루어졌다. 우선, 공원 면적이 기존보다 3,031㎡ 증가하여 총 14만 9,207㎡로 확장된다. 이는 용두산 근린공원(14만 4,046㎡)과 연계하여 대규모 원형 보전형 공원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주거용지 일부는 주상복합지로 변경되어 상업, 업무, 주거 기능을 동시에 갖춘 고밀복합개발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로계획 역시 수정되어 총 13개의 도로노선과 4만 4,170㎡ 면적으로 조정되었으며, 이는 도심 내에서 보행자와 차량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도록 설계되었다.
학교 시설도 강화되어, 고등학교 1개소(12,000㎡)와 초등학교 1개소(13,350㎡)가 포함되며, 이를 통해 과밀학급 문제를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추가로, 주차장 3개소(총 7,047㎡)와 유수지 1개소(13,163㎡)도 계획되어 있어 기반 인프라의 확충에 기여할 것이다.
이러한 조정들은 향후 도시의 발전과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공정한 보상과 시민 의견 반영… 9월 보상 통지 예정

김해시는 토지 보상 절차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보상협의회를 구성하였다. 이 협의회에는 토지소유자, 감정평가사 등이 참여하여 1차 회의를 이미 진행하였다. 따라서 2025년 9월부터 보상 통지가 시작될 계획이다. 보상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시개발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사업은 ‘수용 또는 사용방식’으로 진행되며, 관련된 토지의 세부 사항은 김해시 고시 제2025-173호에 명시되어 있다. 이를 통해 시민들과의 신뢰를 쌓고, 원활한 진행을 도모하고자 한다.
용두산 난개발 방지와 삶의 질 향상 두 마리 토끼

이 사업의 핵심은 용두산의 보존 및 활용으로, 무분별한 개발로부터 이 지역을 보호하는 것이다. 김해시는 대규모 근린공원을 시민들에게 무료로 제공하여 쾌적한 휴식 공간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주거, 교육, 녹지 및 교통 기반시설이 조화를 이루는 균형 잡힌 도시 환경을 조성할 예정이다.
더불어 김해시는 용두지구 도시개발사업이 남부생활권 개발을 완성하고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요한 프로젝트라고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 행정적, 재정적으로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다.
장유·율하·신문지구와의 연계 개발, 김해 미래 성장 동력 될까?

용두지구는 단순히 주택을 공급하는 데 그치지 않고, 미래 도시의 기반을 형성하는 개발 계획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도시 기반 시설의 확보, 환경 친화적인 도시 조성, 그리고 교육 인프라의 확충을 포함하여 김해시 남부의 새로운 중심축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2028년 완공 이후에는 장유, 율하, 신문 지구와의 연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가능성이 크다. 김해시는 이러한 용두지구를 중심으로 도시 성장 방향을 재정비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중요한 거점이 될 것이다.
김해시 고시 제2025– 173호
김해 용두지구 도시개발사업
개발계획 변경(1차) 수립, 실시계획 인가 및 지형도면 고시
김해시 고시 제2024-124호(2024.03.28.)로 도시개발구역 지정, 개발계획 수립 및 지형도면 고시된 김해 용두지구 도시개발사업에 대하여 「도시개발법」 제4조 및 제17조에 따라 개발계획 변경 수립 및 실시계획 인가하고 같은 법 제9조 및 제18조에 따라 고시하며, 「토지이용규제기본법」제8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7조에 따라 지형도면을 고시하오니, 이해관계인은 김해시청(도시개발과)에 비치된 관계서류를 열람하시기 바랍니다.
2025. 6. 4.
김 해 시 장
1. 김해 용두지구 도시개발사업 개발계획(변경)
가. 도시개발구역의 명칭 (변경없음)
○ 김해 용두지구 도시개발구역
나. 도시개발구역의 위치 및 면적 (변경없음)
○ 위치 : 경상남도 김해시 내덕동 산64번지 일원
○ 면적 : 469,483㎡
다. 도시개발구역의 지정 목적 (변경없음)
○ 용두산 보전을 통한 대규모 근린공원(원형 보전형 공원) 조성으로 지역주민의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장유권역 교육시설 설치 등 김해시의 부족한 도시기반시설 확보
○ 높은 개발압력에 따른 용두산 훼손을 방지하고 쾌적한 주거공간 조성으로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
라. 시행자와 그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 (변경없음)
○ 시행자 : 경남개발공사, 김해시도시개발공사
○ 주 소 : (경남개발공사)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용지로 244
(김해시도시개발공사) 경상남도 김해시 가야로 245
마. 도시개발사업의 시행기간 및 시행방법 (변경)
○ 시행기간 : (기정) 도시개발구역 지정고시일(2024년) ~ 공사완료 공고일(2027년)
(변경) 도시개발구역 지정고시일(2024. 03. 28.) ~ 공사완료 공고일(2028. 12. 31.)
○ 시행방식 : 수용 또는 사용방식
바. 토지이용계획 및 기반시설계획 (변경)
1) 토지이용계획 (변경)
구 분 | 면 적(㎡) | 구성비(%) | 비 고 | |||||
기정 | 변경 | 변경후 | 기정 | 변경 | ||||
합 계 | 469,483 | - | 468,483 | 100.0 | 100.0 | |||
주거용지 | 소 계 | 201,172 | 감) 635 | 200,537 | 42.9 | 42.7 | ||
공동주택 | 156,669 | 증) 182 | 156,851 | 33.4 | 33.4 | |||
주상복합 | 34,242 | 증) 13 | 34,255 | 7.3 | 7.3 | |||
준주거시설 | 10,261 | 감) 830 | 9,431 | 2.2 | 2.0 | |||
상업용지 | 소계 | 14,877 | 증) 465 | 15,342 | 3.2 | 3.3 | ||
상업시설 | 14,877 | 증) 465 | 15,342 | 3.2 | 3.3 | |||
도시기반시설용지 | 소 계 | 253,434 | 증) 170 | 253,604 | 53.9 | 54.0 | ||
도로 | 43,987 | 감) 628 | 43,359 | 9.3 | 9.2 | |||
보행자도로 | 811 | - | 811 | 0.2 | 0.2 | |||
주차장 | 7,051 | 감) 4 | 7,047 | 1.5 | 1.5 | |||
공원 | 146,176 | 증) 3,031 | 149,207 | 31.1 | 31.8 | |||
녹지 | 16,254 | 감) 1,587 | 14,667 | 3.5 | 3.1 | |||
저류지 | 13,805 | 감) 642 | 13,163 | 2.9 | 2.8 | |||
학교 | 소계 | 25,350 | - | 25,350 | 5.4 | 5.4 | ||
초등학교 | 13,350 | - | 13,350 | 2.8 | 2.8 | |||
고등학교 | 12,000 | - | 12,000 | 2.6 | 2.6 |
주) 김해시 고시 제2024-124호(2024.03.28.)로 고시한 김해 용두지구 도시개발사업 도시개발구역 지정, 개발계획 수립 및 도시관리계획(장유지구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 지형도면 고시에 대한 준주거시설용지 면적(44,503㎡)을 주상복합용지(
34,242㎡)
와 준주거시설용지(
10,261㎡)로 정정함 (정정 사유 :
기정 준주거시설용지는 주상복합용지와 준주거시설로 구분하여 김해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득하고 개발계획 수립하였으나, 토지이용계획 면적표 분류를 구분하지 않고 고시하여 금회 정정함)
2. 김해 용두지구 도시개발사업 실시계획
가. 사업의 명칭
○ 김해 용두지구 도시개발사업
나. 사업의 목적
○ 용두산 보전을 통한 대규모 근린공원(원형 보전형 공원) 조성으로 지역주민의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장유권역 교육시설 설치 등 김해시의 부족한 도시기반시설 확보
○ 높은 개발압력에 따른 용두산 훼손을 방지하고 쾌적한 주거공간 조성으로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
다. 도시개발구역의 위치 및 면적
○ 위치 : 경상남도 김해시 내덕동 산64번지 일원
○ 면적 : 469,483㎡
라. 시행자
○ 시행자 : 경남개발공사, 김해시도시개발공사
○ 주 소 : (경남개발공사)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용지로 244
(김해시도시개발공사) 경상남도 김해시 가야로 245
마.. 시행기간
○ 2024. 03. 28. ~ 2028. 12. 31.
바. 시행방식
○ 시행방식 : 수용 또는 사용방식
사. 도시․군관리계획(지구단위계획을 포함한다)의 결정내용 : [붙임1]
아. 인가된 실시계획에 관한 도서의 공람기간 및 공람장소
○ 공람기간 : 인가일로부터 14일 이상
○ 공람장소 : 김해시청(도시개발과)
자. 법 제19조에 따라 실시계획의 고시로 의제되는 인․허가등의 고시 또는 공고사항
○ 「도시개발법」제19조제1항제8호 「농지법」 제34조에 따른 농지전용의 허가 또는 협의 및
제9호 「산지관리법」 제14조ㆍ제15조에 따른 산지전용허가






#김해도시개발, #용두지구, #김해신도시, #장유신도시, #율하지구, #신문지구, #김해토지보상, #김해도시기반시설, #김해주거개발, #김해공원조성, #내덕동개발, #용두산공원, #김해시도시개발공사, #경남개발공사, #김해생활권, #도시개발계획, #김해도시계획, #김해부동산, #도시공원, #주상복합개발, #공영개발, #도시개발사업, #김해신규아파트, #김해인프라, #남부생활권, #장유생활권, #내덕지구, #경남도시개발, #경남도시계획, #김해신규택지지구
자주 묻는 질문(FAQ)
Q. 김해 용두지구 도시개발사업의 기본 내용은 무엇인가요?
김해 용두지구 도시개발사업은 46만9천㎡ 부지에 3,000억 원 규모로 2024년부터 2028년까지 추진되는 공영개발 프로젝트입니다.
김해 용두지구 도시개발사업은 경상남도 김해시 내덕동 산64번지 일대에서 진행되며 총 46만9천㎡ 규모입니다. 사업비는 약 3,000억 원이며, 경남개발공사와 김해시도시개발공사가 각각 60%, 40% 지분으로 참여하는 공영개발 방식입니다. 2024년부터 시작해 2028년 말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김해 남부권 주거 및 상업 기능을 강화하고 종합적인 생활권을 만드는 것이 목적입니다.
Q. 용두지구 개발계획에서 변경된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요?
공원 면적 3,031㎡ 증가, 주거 일부를 주상복합지로 변경, 도로 및 학교 시설 대폭 확충 등이 이루어졌습니다.
최근 인가된 개발계획 변경에서는 공원 면적이 기존보다 3,031㎡ 증가해 총 14만 9,207㎡로 확장되어 용두산 근린공원과 연계한 대규모 원형 보전형 공원 조성이 계획됩니다. 주거용지 일부는 주상복합지로 바뀌어 상업, 업무, 주거 기능이 결합된 고밀 복합개발이 가능해졌고, 도로는 13개 노선·4만 4천㎡ 규모로 계획이 수정되어 차량과 보행자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합니다. 또한 초등학교, 고등학교와 주차장, 유수지 설립 등 교육과 기반시설도 강화하여 주민 편의를 높이고 도시의 기능을 개선합니다.
Q. 토지 보상 절차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보상협의회를 구성해 공정한 보상을 추진하며, 2025년 9월부터 보상 통지가 시작됩니다.
김해시는 투명하고 공정한 보상을 위해 토지소유자, 감정평가사 등으로 구성된 보상협의회를 마련했습니다. 1차 회의가 완료되었으며, 2025년 9월부터 보상 통지가 시작될 예정입니다. 보상 방식은 수용 또는 사용방식을 따르며, 관련 세부 사항은 김해시 고시 제2025-173호에 명확히 명시되어 있습니다. 시민들은 도시개발과를 방문해 구체적인 보상 내용을 문의할 수 있습니다.
Q. 용두지구 개발이 지역에 미치는 기대 효과는 무엇인가요?
용두산 보존과 대규모 근린공원 조성, 주거·교육·교통 인프라 확충으로 삶의 질 향상이 기대됩니다.
이 사업은 용두산의 무분별한 개발을 막고, 대규모 근린공원을 조성해 쾌적한 휴식 공간을 제공합니다. 주거 공간과 교육 시설, 녹지 및 교통 기반 시설을 균형 있게 조성해 주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합니다. 또한 장유·율하·신문지구와 연계한 남부생활권 개발의 완성으로 김해시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김해시는 행정적·재정적으로 이 사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