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황령산 전망대 케이블카 조성사업, 2026년 초 착공 예정!


20년 표류 끝에 본궤도 오른 황령산 개발사업

image

부산의 상징적인 도심 산과 야경 명소인 황령산이 새로운 관광 명소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20년 이상 지체되었던 황령산 개발 프로젝트가 드디어 실제 진행 단계에 들어섰다.

부산시는 황령산 전망대와 케이블카 설치 사업의 실시계획을 승인하고 7월 16일 이를 공식 발표했다. 이로 인해 대규모 민간 관광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준비를 갖추게 되었다.



황령산 전망대와 케이블카 사업은 2023년부터 환경영향평가를 포함한 인허가 절차를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이제 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황령산 전망대·케이블카 조성사업 개요

image

이번 프로젝트는 부산진구 전포동에 위치한 황령산 레포츠공원에서 시작된다. 주요 내용은 황령산 정상까지 연결되는 약 539m 길이의 케이블카를 설치하는 것이며, 정상에는 봉수대를 모티브로 한 125m 높이의 대형 전망대를 세우는 것이다. 이 사업은 대원플러스그룹의 세인개발이 담당하고 있으며, 2026년 초 착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전망대 내부에는 다양한 시설이 마련될 예정이다. 360도 파노라마 전망창, 봉수대의 역사와 문화를 전시하는 공간, 미디어아트를 감상할 수 있는 시설, 그리고 야경을 아름답게 장식할 조명 등이 포함된다. 케이블카와 전망대 설치 작업은 각각 2년에서 4년 정도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계획은 지역 관광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스노우캐슬’ 연계 2단계 케이블카도 추진

image

세인개발은 1단계 구간의 실시계획 인가를 받은 것 외에도, 황령산 전망대와 남구 용호동 스노우캐슬을 연결하는 2.2km의 케이블카 2단계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 이 사업은 보완이 진행 중이며, 재심의 절차를 기다리고 있다. 시행사는 부산 도심을 포괄하는 입체관광벨트를 조속히 구축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남천동으로 이어지는 황령산 케이블카 2단계 상세 내용은 위 포스팅 참고.





총사업비 2조2천억 원… 부산 관광지형을 바꿀 대형 민간투자

image

부산에서 진행되는 이 프로젝트는 약 2조 2천억 원의 사업비가 소요되는 민간 관광 개발 사업으로, 케이블카 1·2단계, 봉수전망대, 스노우캐슬 조성이 포함된다. 부산시는 이 사업을 통해 4만6천 명 이상의 직·간접 고용 효과를 예상하고 있으며, 관광과 레저 산업을 미래 성장 산업으로 발전시키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세인개발 측은 부산의 해안, 산, 도심의 경관을 연결하는 세계적 수준의 관광 자원을 만드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황령산을 '아시아의 대표 전망 명소'로 육성하여 부산의 글로벌 관광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러한 계획은 부산의 관광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반복된 좌절 끝에 성과… 관건은 전파간섭 해소

image

황령산 개발 프로젝트는 이전에도 여러 차례 추진되었으나 항상 실패로 돌아갔다. 2004년 아시아드타워 계획을 시작으로 2012년과 2017년의 종합관광개발계획도 재정 문제와 시민 및 환경단체의 반대에 부딪혀 무산됐다.

현재 진행 중인 사업은 TV 방송 3사의 송신탑과의 전파 간섭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선결 과제로 남아 있다. 본격적인 착공에 앞서 구조굴토심의와 토석채취허가 등 다양한 행정 절차를 마무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







결론: 황령산, 부산 관광의 ‘정점’이 될 수 있을까?

image

부산 황령산 전망대 케이블카 조성사업은 단순히 시설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도시의 정체성을 재정립하려는 중요한 시도이다. 오랜 시간동안 논의만 있었던 만큼 많은 기대가 모아지고 있지만, 환경 보호와 주민의 수용성, 전파 간섭 문제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 있다.

이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된다면, 황령산은 단순한 야경 명소를 넘어 '부산의 상징'으로 자리잡을 것이며, 세계적인 관광 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중요한 원동력이 될 것이다.

황령산봉수전망대(2026년예정)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산50-1






부산광역시 고시 제2025-284호


도시계획시설사업(황령산유원지 봉수전망대조성사업[봉수전망대]) 시행자 지정 및 실시계획인가 고시

건교부 고시 제555호(1972. 12. 30.)로 도시계획시설(유원지) 결정되고, 부산광역시 고시 제2025-283호(2025.7.16.)로 도시관리계획(황령산유원지 조성계획) 변경결정 고시된 도시계획시설에 대하여「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86조, 제88조, 제91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96, 제97조, 제100조에 의거 도시계획시설사업 시행자 지정 및 실시계획인가 고시합니다.

관계도서는 부산광역시(공원여가정책과 ☏888-3821) 및 부산진구(공원녹지과☏ 605-6311)에 비치하고 일반인 및 이해관계인에게 보입니다.



2025. 7. 16.


부 산 광 역 시 장


□ 도시계획시설사업 실시계획인가 개요
1. 사업의 종류 : 도시계획시설사업
2. 사업의 명칭 : 황령산유원지 봉수전망대조성사업 [봉수전망대]
3. 사업의 위치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산50-1
4. 사업의 규모 : A=19,813㎡ (봉수전망대)
5. 사업시행자의 성명 및 주소

- 성 명 : 주식회사 세인개발
- 주 소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마린시티2로 33, 104동 401호
6. 사업의 착수 및 준공예정일

- 착수예정일 : 인가일로부터 6개월 이내
- 준공예정일 : 착공일로부터 48개월 이내
7. 사업비 : 2,037억원

8. 수용 또는 사용할 토지 및 소유권 이외의 권리자 조서

연번주소지 번지목지 적(㎡)편입면적(㎡)소 유 자소유권 이외의 권리
성 명주 소성명주소권리내용
합 계204,53419,813
4부산진구전포동산50-1204,53419,813주식회사세인개발 외 1인
194,73118,863주식회사세인개발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마린시티2로 33,104동 401호
9,803950부산문화방송주식회사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 316-2
image
image



구분
고시
기관구분

기관
부산광역시
고시·공고 번호
제2025-284호
제목
도시계획시설사업(황령산유원지 봉수전망대조성사업[봉수전망대])시행자 지정 및 실시계획인가 고시
일자
2025-07-16





부산광역시 고시 제2025-285호


도시계획시설사업(황령산유원지 봉수전망대조성사업[로프웨이])
시행자 지정 및 실시계획인가 고시

건교부 고시 제555호(1972. 12. 30.)로 도시계획시설(유원지) 결정되고, 부산광역시 고시 제2025-283호(2025.7.16.)로 도시관리계획(황령산유원지 조성계획) 변경결정 고시된 도시계획시설에 대하여「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86조, 제88조, 제91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96, 제97조, 제100조에 의거 도시계획시설사업 시행자 지정 및 실시계획인가 고시합니다.

관계도서는 부산광역시(공원여가정책과 ☏888-3821) 및 부산진구(공원녹지과☏ 605-6311)에 비치하고 일반인 및 이해관계인에게 보입니다.



2025. 7. 16.


부 산 광 역 시 장


□ 도시계획시설사업 실시계획인가 개요
1. 사업의 종류 : 도시계획시설사업
2. 사업의 명칭 : 황령산유원지 봉수전망대조성사업 [로프웨이]
3. 사업의 위치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산50-1외 3필지
4. 사업의 규모 : A=42,055㎡ (로프웨이)
5. 사업시행자의 성명 및 주소

- 성 명 : 주식회사 세인개발
- 주 소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마린시티2로 33, 104동 401호
6. 사업의 착수 및 준공예정일

- 착수예정일 : 인가일로부터 6개월 이내
- 준공예정일 : 착공일로부터 24개월 이내
7. 사업비 : 1,316억원

8. 수용 또는 사용할 토지 및 소유권 이외의 권리자 조서

연번주소지 번지목지 적(㎡)편입면적(㎡)소 유 자소유권 이외의 권리
성 명주 소성명주소권리내용
합 계278,51842,055
1부산진구전포동산2928,5373,171산림청
2부산진구전포동산29-125,6122,809부산광역시부산진구
3부산진구전포동산35-319,83519,835주식회사세인개발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마린시티2로 33,104동 401호주식회사경남은행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3, 15대로 642(해운대지점)채권최고액927,481,500원
4부산진구전포동산50-1204,53416,240주식회사세인개발 외 1인
194,73115,462주식회사세인개발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마린시티2로 33,104동 401호
9,803778부산문화방송주식회사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 316-2


※ 부산진구 전포동 산29, 산29-1 : 로프웨이 가공선로 구간

image
image


구분
고시
기관구분

기관
부산광역시
고시·공고 번호
제2025-285호
제목
도시계획시설사업(황령산유원지 봉수전망대조성사업[로프웨이])시행자 지정 및 실시계획인가 고시
일자
2025-07-16






#황령산, #황령산전망대, #황령산케이블카, #부산관광개발, #부산랜드마크, #스노우캐슬, #세인개발, #대원플러스그룹, #부산진구, #전포동, #용호동, #전망대조성, #케이블카사업, #부산야경, #부산명소, #민간투자개발, #관광레저산업, #부산도시개발, #도시브랜딩, #황령산유원지, #부산전망대, #도심케이블카, #부산뉴스, #부산부동산, #부산시정, #2026착공, #부산경제, #부산미래전략, #부산일자리, #고용창출


자주 묻는 질문(FAQ)

Q. 부산 황령산 전망대 케이블카 조성사업은 언제 착공하나요?
황령산 전망대와 케이블카 사업은 2026년 초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부산시는 황령산 전망대와 케이블카 설치 사업의 실시계획을 승인하고 2026년 초 착공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세인개발이 담당하며, 케이블카 설치 및 대형 전망대 건설에 2년에서 4년가량의 기간이 소요될 예정입니다. 본격적인 행정 절차와 인허가 과정을 거쳐 2026년 초부터 공사가 시작될 것입니다.

Q. 황령산 전망대와 케이블카 사업의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요?
약 539m 케이블카와 125m 높이 봉수대 모티브 전망대를 조성하는 사업입니다.

이번 사업은 부산진구 전포동 황령산 레포츠공원에서 시작해 정상까지 길이 약 539m의 케이블카를 설치합니다. 정상에는 봉수대를 모티브로 한 125m 높이 전망대를 세워, 360도 파노라마 전망창과 역사·미디어아트 전시 공간, 야경 조명을 갖출 계획입니다. 이러한 시설들은 지역 관광 활성화와 부산의 상징적 명소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Q. 황령산 케이블카 사업 2단계 계획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
남구 용호동 스노우캐슬과 연결하는 2단계 케이블카 사업이 보완 중이며 재심의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세인개발은 1단계 사업 외에도 용호동 스노우캐슬과 황령산 전망대를 잇는 약 2.2km 길이의 2단계 케이블카 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현재 2단계 사업은 보완 작업 중이며 재심의 절차를 기다리고 있어, 본격적인 착공 이전에 행정 절차를 마무리할 예정입니다. 이 사업은 부산 도심을 포괄하는 관광벨트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Q. 이 사업의 총사업비와 기대 효과는 무엇인가요?
총사업비 약 2조2천억 원으로 4만6천 명 이상의 고용 창출을 기대합니다.

부산 황령산 전망대 케이블카 조성사업은 케이블카 1·2단계와 봉수전망대, 스노우캐슬 조성 등을 포함해 총 약 2조 2천억 원의 민간투자 사업입니다. 부산시는 이 사업을 통해 4만6천 명 이상의 직·간접 고용 효과를 전망하며, 관광 및 레저 산업의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세인개발은 부산을 아시아의 대표 전망 명소로 육성하여 글로벌 관광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포부입니다.

Q. 과거 황령산 개발사업이 좌절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재정 문제와 시민 및 환경단체의 반대, 전파 간섭 문제가 주요 원인입니다.

황령산 개발 사업은 20년 이상 여러 차례 시도됐지만 2004년 아시아드타워 계획과 2012년, 2017년 종합관광개발계획이 재정난과 시민 및 환경단체의 반대 등으로 무산되었습니다. 특히 현재 사업의 주요 과제는 TV 방송 3사 송신탑과 케이블카 간 전파 간섭 문제 해결로, 이 문제가 선결돼야 착공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Q. 사업이 성공한다면 부산 관광에 어떤 변화가 있나요?
황령산이 부산의 상징이자 세계적 관광 명소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완공되면, 황령산은 단순한 야경 명소를 넘어 부산의 도시 정체성을 상징하는 대표적 관광지가 될 것입니다. 다양한 문화·예술 시설과 최첨단 전망대를 통해 관광객을 끌어들임으로써 부산의 글로벌 관광 도시 도약에 핵심 원동력이 될 전망입니다. 그러나 환경 보호, 주민 수용성, 전파 문제 등 해결 과제가 남아 있습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