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나눔장터 올해 마지막 개장

올해의 마지막 부산시 2025 시민 굿바이 나눔장터가 11월 22일 송상현광장 선큰광장에서 개최된다.
이 행사는 자원 순환과 나눔 문화를 결합한 대표적인 시민 참여 행사로, 재사용품 판매와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어 도심 속에서 환경 나눔의 장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재사용품 판매 행사

이번 행사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진행된다. 시민, 사회적 기업, 비영리 단체 등 다양한 참여자들이 의류, 가방, 도서와 같은 재사용 가능한 생활용품을 판매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특히 올해 마지막 행사인 만큼 다양한 품목이 준비되어 있어 더욱 기대가 된다. 또한 폐전지와 종이팩을 교환하는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되어, 참여자들이 자원 순환 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어린이 참여 프로그램

이번 나눔장터에서는 어린이를 위한 특별한 장터가 마련되어, 아이들이 직접 판매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재사용과 나눔의 가치를 배우는 소중한 경험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환경 교육 및 체험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되어 미래 세대의 환경에 대한 이해와 감수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여름 야간장터에서 인기를 끌었던 버스킹 공연과 인형극 같은 가족 친화적인 콘텐츠는 시민들에게 더욱 큰 호응을 이끌어냈다.
올해 행사 성과 정리

2025년 시민 나눔장터는 10월까지 총 6회에 걸쳐 열렸으며, 이 과정에서 15,300명의 시민이 참여했다. 또한, 1,694점의 생활용품이 재사용되는 성과를 이뤘다.
판매로 발생한 수익 중 180만 원은 자발적으로 기부되어 독거노인과 조손가정 35가구에 전달되었으며, 이러한 활동은 나눔의 가치를 사회 전반으로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다.
나눔장터는 환경 보호와 공동체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장으로 자리매김하며, 지속 가능한 도시 정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부산나눔장터, #시민굿바이나눔장터, #송상현광장, #부산가볼만한곳, #재사용품판매, #폐전지교환, #종이팩교환, #어린이장터, #부산환경행사, #자원순환, #부산축제, #부산11월행사, #부산체험행사, #부산아이와가볼만한곳, #부산나들이, #부산주말행사, #부산시민행사, #부산플리마켓, #친환경생활, #지속가능한소비, #부산도심행사, #선큰광장, #부산일상, #부산핫플, #부산무료행사, #환경교육, #부산문화행사, #부산가족나들이, #부산체험프로그램, #부산11월추천
자주 묻는 질문(FAQ)
Q. 2025 시민 굿바이 나눔장터는 언제 어디서 열리나요?
2025 시민 굿바이 나눔장터는 11월 22일 송상현광장 선큰광장에서 개최됩니다.
올해 마지막으로 열리는 부산시 2025 시민 굿바이 나눔장터는 11월 22일, 송상현광장 선큰광장에서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진행됩니다. 이 행사는 시민 참여와 자원 순환 문화를 장려하는 중요한 행사로, 많은 시민이 환경 나눔의 장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Q. 나눔장터 행사에서는 어떤 물품들을 판매하나요?
의류, 가방, 도서 등 재사용 가능한 생활용품들이 판매됩니다.
나눔장터에는 시민과 사회적 기업, 비영리 단체가 참여하여 의류, 가방, 도서 등 다양한 재사용 가능한 생활용품을 판매합니다. 올해 마지막 행사인 만큼 다양한 품목이 준비되어 있으며, 폐전지와 종이팩 교환 프로그램도 진행되어 자원 순환 체험 기회를 제공합니다.
Q. 어린이 장터와 참여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
어린이가 직접 판매에 참여하고 환경 교육과 체험 프로그램이 함께 진행됩니다.
특별히 어린이 참여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아이들이 재사용과 나눔의 가치를 배우는 소중한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경 교육과 체험 프로그램이 함께 진행되어 미래 세대의 환경 감수성과 이해도를 높이고, 가족 친화적인 버스킹 공연과 인형극도 진행되어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Q. 올해 시민 나눔장터의 주요 성과는 무엇인가요?
총 6회 행사에 15,300명 참여, 1,694점 물품 재사용과 180만원 기부가 이루어졌습니다.
2025년 시민 나눔장터는 10월까지 6회에 걸쳐 진행되어 15,300명의 시민이 참여했고 1,694점의 생활용품이 재사용되었습니다. 판매 수익 중 180만 원은 독거노인과 조손가정 35가구에 기부되어 사회적 나눔도 실천했습니다. 이 행사는 환경 보호와 공동체 참여를 증진하며 지속 가능 도시 정책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