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부산권 복합산업단지, GB 해제 승인으로 본격 추진

부산시는 10월 23일,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서 '서부산권 복합산업단지'의 개발제한구역 약 130만㎡ 해제를 승인받았다고 전했다.
이로 인해 강서구 강동동 지역에 138만 5천㎡ 규모의 일반산업단지 조성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예정이다. 이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사업은 변화하는 산업 환경에 맞춰 부산의 주력 산업을 고도화하고, 첨단 디지털 및 스마트 전환을 위한 산업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부산도시공사가 사업 시행자로 참여하며, 기계, 전기, 전자 등 산업 중심의 첨단 제조업 단지가 조성될 예정이다.
서부산 개발 함께보면 좋은글
8년간 추진된 숙원사업, 드디어 ‘원안 가결’

‘서부산권 복합산업단지’ 프로젝트는 2017년에 민간 컨소시엄(SK컨소시엄)을 통해 처음으로 추진되었으나, 공공성 확보 문제로 인해 한동안 중단되었다. 이후 부산도시공사가 직접 참여하게 되면서 상황이 변화하기 시작했다.
2019년에는 타당성 조사 용역이 진행되었고, 2020년에는 설계 작업이 시작되었다. 2022년에는 중덕마을 편입이 결정되었으며, 2024년에는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위한 신청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올해 6월, 국토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서 1차 심의 결과 '보완 후 재심의'가 결정되었고, 부산시는 환경, 교통, 농업적 성격 등 관련 부처와의 협의를 마친 후 최종적으로 '원안 가결'이라는 승인을 받았다.
이로 인해 이제 사업은 산업단지 계획 수립 단계로 진입하며, 2025년부터 2026년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그 후 보상 및 착공 과정이 2026년에서 2028년 사이에 이루어질 계획이다. 이 프로젝트는 서부산권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 서부권의 ‘미래 신성장 축’으로 도약

사업 대상지는 강서구 강동동 일대 약 139만㎡(42만 평)로, 이 지역은 부산연구개발특구, 강동·대저 공공주택지구, 제2에코델타시티와 인접해 있다.
이를 통해 '연구개발-산업·물류-주거'가 서로 연결된 서부산권 활성화벨트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로써 직주근접 자족도시 모델을 실현하고자 한다.
또한 시는 대저대교(식만~사상 간 도로) 등 주요 인프라와의 연계를 통해 교통 접근성을 높이고, 15분 도시 및 압축도시(Compact City) 개념을 도입할 예정이다.
완공 후에는 산업시설 용지를 확보함으로써 미래 산업 수요에 대응하고, 지역 내 일자리 창출 및 기업의 입지 확대를 통해 긍정적인 경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산업·연구·주거가 어우러진 자족형 혁신 클러스터 조성

이번 GB 해제는 서부산권 전체를 혁신 성장의 중심지로 탈바꿈시키기 위한 중요한 전환점으로 여겨진다.
주변의 부산연구개발특구에서는 연구개발 중심의 고급 기술 기업들이 자리 잡을 것이며, 복합산단은 산업과 물류 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공공주택지구에서는 주거 환경과 생활 인프라가 구축돼 서로 간의 시너지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시는 서부산권의 복합산업단지를 단순한 공업용지가 아닌, 부산의 미래 산업 혁신을 이끌어갈 통합 클러스터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이에 따라, 산업단지 계획의 수립과 보상 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기여할 예정이다.
결론

서부산권 복합산업단지의 GB 해제 승인은 서부산의 발전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을 의미한다.
강서구 강동동 지역은 ‘부산형 직주근접 자족도시’의 핵심으로 자리 잡을 예정이며, 향후 부산연구개발특구, 제2에코델타시티, 트라이포트 복합물류지구와의 연결을 통해 서부경제벨트가 본격적으로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변화는 부산의 미래 경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서부산권복합산업단지, #강서구강동동, #GB해제, #개발제한구역해제, #부산산업단지, #부산도시공사, #부산연구개발특구, #공공주택사업, #부산신성장동력, #서부산권개발, #부산경제, #직주근접자족도시, #서부산벨트, #에코델타시티, #트라이포트복합물류지구, #대저대교, #강서산업단지, #부산산업용지, #부산경제거점, #압축도시, #15분도시, #산업혁신, #스마트산단, #부산미래전략, #부산투자, #R, #&D특구, #지역경제활성화, #산업입지, #부산도시계획, #강서권발전, #부산산업정책
자주 묻는 질문(FAQ)
Q. 서부산권 복합산업단지 개발제한구역 해제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국토부 중앙도시계획위가 강서구 강동동 130만㎡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승인했습니다.
2023년 10월 23일 부산시는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서 서부산권 복합산업단지 일대 약 130만㎡의 개발제한구역(GB) 해제를 정식으로 승인받았습니다. 이는 산업단지 조성 사업이 본격 추진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된 것으로, 산업·연구·주거가 어우러진 자족형 혁신 클러스터 구축에 중요한 전환점입니다. 이 조치는 부산 서부권의 미래 신성장 축 구축과 지역 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에 긍정적 영향을 기대하게 합니다.
Q. 서부산권 복합산업단지 사업의 주요 추진 경과는 어떻게 되나요?
2017년 민간 추진서 부산도시공사 참여, 타당성 조사, 설계, 2023년 GB 해제 승인까지 진행되었습니다.
서부산권 복합산업단지 프로젝트는 2017년 SK 컨소시엄 주도로 시작했으나 공공성 문제로 중단된 뒤 부산도시공사가 참여해 추진력을 얻었습니다. 2019년 타당성 조사 용역과 2020년 설계 작업이 진행됐고, 2022년 중덕마을 편입 결정 후 2023년 GB 해제 신청 및 심의를 통해 최종 원안 가결을 받았습니다. 이후 2025~2026년 산업단지 계획 수립 단계를 거치고 2026~2028년에 보상과 착공이 예정되어 사업이 본격화됩니다.
Q. 서부산권 복합산업단지 조성의 지역적 위치와 기대 효과는 무엇인가요?
강서구 강동동에 위치하며 R&D특구, 공공주택지구 인접해 산업·주거·연구 융합 기대됩니다.
사업 대상지는 부산 강서구 강동동 약 139만㎡로 부산연구개발특구, 강동·대저 공공주택지구, 제2에코델타시티 인근에 위치합니다. 이를 통해 연구개발, 산업물류, 주거가 상호 연결된 서부산권 활성화벨트를 조성할 계획입니다. 교통 인프라와 15분 도시, 압축도시 개념 도입으로 접근성을 높이고, 미래 산업 수요에 대응해 지역 일자리 창출과 기업 입지 확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Q. 서부산권 복합산업단지 개발이 부산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며, 부산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작용합니다.
GB 해제를 계기로 서부산권은 혁신 성장의 중심지로 부상할 예정입니다. 산업·물류·주거 기능의 시너지로 산업단지가 첨단 제조업 기반을 마련하고, 부산연구개발특구와의 연계로 기술 집약적 기업 육성이 기대됩니다. 이는 부산 지역 경제 활성화와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하며, 서부산권을 부산 미래 경제를 견인하는 신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입니다.
Q. 서부산권 복합산업단지 조성 계획에서 스마트·첨단 산업 육성 방향은 어떻게 되나요?
기계, 전기, 전자 중심 첨단 제조업과 스마트 산업단지 조성에 중점을 둡니다.
본 사업은 산업 환경 변화에 부응하여 부산의 주력 산업 고도화와 첨단 디지털 및 스마트 전환을 목표로 합니다. 부산도시공사가 시행자로 참여해 기계, 전기, 전자 등 산업 중심의 첨단 제조업 단지를 조성하며, 스마트 산단 조성으로 미래 산업 혁신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지역 산업 경쟁력 강화와 혁신 클러스터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