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부산시,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연계 내수 활성화 총력전 펼친다

오는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이 개최된다. 부산시는 이 시기를 맞아 지역 경제의 회복과 소비 촉진을 위한 ‘부산형 내수 활성화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축제는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대규모 소비 행사로, 전국의 제조업체와 유통기업, 소상공인이 함께 참여하여 대한민국 경제의 소비 열기를 다시 불러일으키는 기회가 될 것이다.

부산시는 지역 경제의 회복을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우선, 지역 상권을 활성화하기 위한 소비 축제를 확대하고, 동백전의 캐시백 요율을 18%로 상향 조정한다.
또한, 관광, 문화, 체육을 연계한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소비 촉진 정책을 시행할 예정이다.
지역 상권 활성화 위한 ‘부산형 소비축제’ 본격 가동

부산 전역에서 다채로운 반짝(팝업) 행사가 열릴 예정이다. 이번 행사들은 백화점, 쇼핑몰, 그리고 골목상권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먼저, 롯데백화점 부산본점에서는 10월 31일부터 11월 6일까지 ‘간식로드 인 부산’이 개최된다. 이 행사에서는 부산의 대표적인 디저트 브랜드 15곳의 다양한 제품을 한 곳에서 즐길 수 있다.
또한,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에서는 10월 30일부터 11월 1일까지 ‘BIG HUB 팝업전’이 열리며, 이곳에는 지역의 신발, 패션 및 의류 브랜드 31개사가 참여할 예정이다. 부산의 상권 활성화에 기여할 이번 행사에 많은 관심이 모인다.

부산에서는 다양한 팝업스토어가 운영 중이다. ‘동백상회 팝업스토어’는 커넥트현대 부산에서 11월 20일까지 열리며, ‘부산 대표브랜드 팝업스토어(Big Shop)’는 KT&G 상상마당 부산에서 11월 6일부터 12월 7일까지 진행된다. 이들 팝업스토어는 부산의 뛰어난 브랜드를 전국 소비자에게 소개할 예정이다.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소비 진작 행사

10월 29일부터 11월 30일까지 ‘부산세일페스타(온라인)’가 진행되며, ▲네이버 ▲11번가 ▲지마켓 ▲동백몰 등 여러 주요 온라인 쇼핑몰에서 30% 특별할인 쿠폰을 제공한다.
오프라인에서는 ‘전포공구길 논알콜 페스티벌’이 11월 7일부터 9일 사이에 열리며, ‘해리단길 스위트살롱 인 우일맨션’도 11월 8일부터 9일까지 개최된다. 이로 인해 지역 상권을 활성화하는 체험형 소비 축제가 마련될 예정이다.
동백전 캐시백 18% 혜택 및 전통시장 환급 행사

최근 주목받고 있는 정책 중 하나는 ‘동백전 캐시백 요율 18% 확대’이다. 이 정책은 페스티벌 기간인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시행되며, 최대 50만 원까지 구매 시 18%의 캐시백을 제공한다. 이는 2019년 동백전이 출시된 이후 가장 높은 소비 혜택으로, 지역 소상공인의 매출을 늘리고 시민들의 소비를 촉진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더불어 ‘전통시장 소비진작 환급행사’가 11월 6일부터 8일까지 진행된다. 이 행사에서는 전통시장에서 일정 금액 이상 구매하면 최대 2만 원 상당의 온누리상품권을 환급받을 수 있다. 부산 전역의 100개 시장이 참여하는 만큼, 지역 경제의 실질적인 회복이 기대된다.
관광·문화·체육 연계 프로그램으로 체류형 소비 확대

이번 행사는 단순한 소비 축제를 넘어서 '체류형 소비 확대 전략'으로 발전하게 된다.
'K-부산관광마켓 프로모션'은 철도를 이용해 부산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이 부산의 전통시장에서 일정 금액 이상 소비할 경우, 온누리상품권 2만 원을 제공한다.
또한, 타 지역 청년들을 위한 '부산온나청년패스'를 통해 제휴된 관광시설에서 최대 60%의 할인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혜택은 부산을 더욱 매력적인 여행지로 만들어 줄 것으로 기대된다.
11월 8일 송도해수욕장에서 '달밤에체조 부산챌린지'가 개최된다. 이 행사에서는 K-POP 댄스, 버블쇼, 다양한 체험 부스가 마련되어 가족 단위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낸다.
또한 같은 날부터 9일까지는 '부산광역시장배 3X3 군함 농구대회'가 남구 백운포 해군작전사령부 일대에서 열린다. 이 대회에서는 군악대 공연과 군함 승선 체험 등 색다른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어 많은 이들의 흥미를 끌 것으로 보인다.
부산시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연계 개최 행사
| 행사명 | 기간 | 장소 | 주요 내용 |
| 간식로드 in 부산 | 10.31.~11.6. | 롯데백화점 부산본점 지하1층 팝업존 | 지역 디저트 15개사 특별판매전, 구매 이벤트 |
| 동백상회 팝업스토어 | 10.17.~11.20. | 커넥트현대 부산 3층 행복상회 | 부산 우수제품 26개 브랜드 판매, 품목별 할인 |
| BIG HUB 팝업전 (PFB 패패부산) | 10.30.~11.1. |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 지하2층 중앙광장 | 신발·패션·의류 31개사 참여, 지역 브랜드 판촉 행사 |
| 부산 대표브랜드 공동 팝업스토어 (Big Shop) | 11.6.~12.7. | KT&G 상상마당 부산 1층 라운지홀 | 도시브랜드 상품 판매, 브랜드 홍보 이벤트 |
| 부산세일페스타 (온라인) | 10.29.~11.30. | 네이버·11번가·지마켓·동백몰 등 | 온라인 전용관 개설, 30% 특별할인 쿠폰 |
| 전포공구길 논알콜 페스티벌 (오프라인) | 11.7.~11.9. | 전포공구길 일원 | 골목상권 쿠폰, 체험 팝업, 09마켓 운영 |
| 해리단길 스위트살롱 in 우일맨션 | 11.8.~11.9. | 해리단길 우일맨션 일원 | 디저트 팝업, 아뜰리에마켓, 프린지콘서트 등 |
| 동백전 캐시백 18% 특별지급 | 10.29.~11.9. | 부산 전역 가맹점 | 캐시백 한도 50만 원, 최대 18% 환급 |
| 전통시장 소비진작 환급행사 | 11.6.~11.8. | 부산 100개 전통시장 | 4만 원 이상 구매 시 1만 원, 7만 원 이상 2만 원 환급 |
| 제23회 부산국제수산EXPO (BISFE 2025) | 11.5.~11.7. | 벡스코 제1전시장 3홀 | 29개국 460개사 참가, 할인쿠폰 증정 |
| K-부산관광마켓 프로모션 상품 | 10.20.~예산 소진 시 | 부산역·부전역 및 전통시장 | KTX 승차권 할인 + 시장 소비 시 온누리상품권 지급 |
| 부산온나청년패스 론칭 | 8.19.~12월말 | 제휴 관광시설 19개소 | 타지역 청년 대상 최대 60% 할인 |
| 달밤에체조 부산챌린지 | 11.8. | 송도해수욕장 | K-POP댄스, 버블쇼, 체험부스 등 시민참여형 체육행사 |
| 부산시장배 3X3 군함 농구대회 | 11.8.~11.9. | 남구 백운포 해군작전사령부 | 군함 승선체험, 군악대·의장대 공연 |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개요 및 전국 연계 프로그램

이번 축제는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진행되며, 전국에서 약 3만 개의 기업이 참여하는 대규모 소비 행사이다. '함께 성장하는 경제, 희망이 되는 소비'라는 비전을 가지고, 여러 정부 부처와 협력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이 동시에 실시될 예정이다.

이번 가을, 다양한 할인 행사와 캠페인이 진행된다. 산업부에서는 '코리아 세일 페스타'가 10월 29일부터 11월 16일까지 열려 소비자들에게 풍성한 혜택을 제공한다.
중기부의 '동행축제'는 같은 기간 동안 10월 29일부터 11월 30일까지 진행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예정이다. 또한, 행안부에서는 지역사랑상품권을 12~20% 할인된 가격에 판매하는 기회를 마련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여행가는 가을 캠페인'을 11월 3일부터 12월 7일까지 실시하며, 해양수산부의 수산물 할인전도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진행된다. 마지막으로, 관세청은 '코리아 듀티 페스타'를 10월 29일부터 11월 30일까지 개최하여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 예정이다.

부산에서는 오는 11월 5일부터 7일까지 ‘제23회 부산국제수산EXPO’가 벡스코에서 열린다. 이 행사에서는 매일 500명에게 5천 원 할인 쿠폰이 제공되어, 지역 수산물의 소비를 활성화하는 데 도움을 줄 예정이다.
부산시의 기대효과

부산시는 이번 축제를 통해 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소비 진작과 소상공인 매출 증가, 관광 소비 촉진, 청년층 유입 확대 등을 통해 전반적인 경제 회복을 기대한다. 이러한 노력은 지역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행사는 고물가로 인해 위축된 지역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주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시 당국은 앞으로도 시민들이 직접 느낄 수 있는 실질적인 내수 진작 정책을 계속해서 추진할 예정이다.
#코리아그랜드페스티벌, #부산세일페스타, #부산내수활성화, #동백전18퍼센트, #부산경제진흥원, #간식로드인부산, #BIGHUB, #동백상회, #커넥트현대, #KTG상상마당, #부산브랜드샵, #부산팝업스토어, #전포공구길, #해리단길, #모루비, #우일맨션, #부산국제수산엑스포, #K부산관광마켓, #부산온나청년패스, #달밤에체조부산챌린지, #3X3군함농구대회, #부산문화행사, #부산축제, #소비촉진행사, #부산관광, #부산경제활성화, #부산상권, #부산소상공인, #부산체육행사, #부산이벤트, #BusanFestival
자주 묻는 질문(FAQ)
Q.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은 언제 개최되며 부산시는 어떤 내수 활성화 대책을 추진하나요?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은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열리며 부산시는 동백전 캐시백 확대 등 내수 활성화 사업을 추진합니다.
2023년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이 개최되며, 부산시는 이를 맞아 지역 경제 회복과 소비 촉진을 위한 부산형 내수 활성화 사업을 적극 추진합니다. 주요 대책으로는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한 소비 축제 확대, 동백전 캐시백 요율 18% 상향 조정, 관광·문화·체육 연계 프로그램 운영 등이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부산 내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합니다.
Q. 부산에서 진행되는 팝업 행사는 어떤 내용이며 어디서 열리나요?
롯데백화점·신세계백화점 등에서 부산 대표 브랜드 참여 팝업 행사와 상점들이 운영됩니다.
부산에서는 롯데백화점 부산본점에서 10월 31일부터 11월 6일까지 ‘간식로드 인 부산’ 행사가 열려 대표 디저트 브랜드 15곳의 제품을 선보입니다.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에서는 10월 30일부터 11월 1일까지 ‘BIG HUB 팝업전’이 개최되어 신발, 패션, 의류 등 31개 지역 브랜드가 참여합니다. 또 ‘동백상회 팝업스토어’(커넥트현대 부산, 11월 20일까지)와 ‘부산 대표브랜드 팝업스토어(Big Shop)’(KT&G 상상마당 부산, 11월 6일부터 12월 7일까지)도 운영되어 부산 브랜드의 전국적 홍보를 지원합니다.
Q. 동백전 캐시백 혜택은 어떻게 변화되었으며 어떤 효과가 기대되나요?
동백전 캐시백 요율이 18%로 올라 최대 50만원 구매까지 혜택을 제공합니다.
페스티벌 기간(10월 29일~11월 9일) 동안 동백전 캐시백 요율이 18%로 확대되어 구매금액 최대 50만원까지 캐시백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동백전 출시 이후 최고 수준의 혜택으로, 지역 소상공인의 매출 향상과 시민들의 소비 촉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전통시장 환급행사도 병행되어 온누리상품권 지급을 통해 전통시장 소비 활성화도 도모합니다.
Q. 부산시가 추진하는 관광·문화·체육 연계 프로그램에는 어떤 이벤트가 있나요?
‘달밤에체조 부산챌린지’와 ‘부산광역시장배 3X3 군함 농구대회’ 등이 개최됩니다.
11월 8일 송도해수욕장에서 열리는 ‘달밤에체조 부산챌린지’에서는 K-POP 댄스, 버블쇼, 체험 부스 등 가족 참여형 행사가 진행됩니다. 11월 8일부터 9일까지는 남구 백운포 해군작전사령부 일대에서 ‘부산광역시장배 3X3 군함 농구대회’가 열리며 군악대 공연 및 군함 승선 체험 등 특별한 프로그램도 마련됩니다. 이들 행사는 시민과 관광객이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문화체육 이벤트로 지역 체류형 소비를 확대하는데 일조합니다.
Q. 부산에서 진행되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소비 촉진 행사는 무엇인가요?
부산세일페스타 온라인 할인과 전포공구길·해리단길의 오프라인 축제가 있습니다.
10월 29일부터 11월 30일까지 네이버, 11번가, 지마켓, 동백몰 등 주요 온라인 쇼핑몰에서 ‘부산세일페스타’가 진행되며 30% 특별 할인 쿠폰이 제공됩니다. 오프라인에서는 11월 7일부터 9일 사이 전포공구길 논알콜 페스티벌과 해리단길 스위트살롱 인 우일맨션 행사가 개최되어 지역 상권과 골목상권을 활성화하는 체험형 소비 축제로 꾸며집니다. 이러한 온·오프라인 통합 행사는 소비자 참여를 높이고 지역 경제 회복에 이바지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