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개발제한구역 해제로 열리는 미래 신산업의 중심지


울산의 미래를 이끌 새로운 성장 동력, 수소 융복합밸리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울산광역시는 미래 신산업 중심지로 성장하기 위해 중요한 첫 단계를 시작한다. 울산 남구의 옥동과 두왕동, 그리고 울주군 청량읍 문죽리 지역에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를 조성하는 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단순한 산업단지 개발을 넘어, 수소 산업 관련 기업과 연구 시설을 집중적으로 배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주거, 상업, 공공 기능이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복합형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긴 시간 동안 제약을 받아온 개발제한구역(GB)이 해제되면서, 대규모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 사회에서는 큰 기대감을 느끼고 있다.

이번에는 울산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수소 융복합밸리의 구체적인 조성 계획과 그 중요성에 대해 깊이 있게 살펴보려 한다.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구체적인 조성 계획은?



사업 개요 및 규모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조성 프로젝트는 울산광역시 남구와 울주군에 걸쳐 약 2,175,440㎡의 넓은 부지에서 진행된다. 이 중 개발제한구역에서 해제되는 면적은 2,164,135㎡로 상당한 규모를 자랑한다.

총 사업비는 약 9,709억 원이 소요될 예정이며, 사업 기간은 2024년부터 2032년까지 설정되어 있다. 울산도시공사가 이 프로젝트의 시행을 담당하게 된다.

핵심 목표: 산업과 도시 기능의 융합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이 사업의 주된 목표는 수소산업 관련 기업과 연구시설을 대폭 늘려 울산을 미래 신산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는 것이다.

또한, 문수체육공원 주변의 주차 문제를 해결하고 청년들을 위한 복합공간을 조성하여 도심과 연결된 자족경제 기반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계획은 단순히 산업을 육성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시민들의 생활 환경 개선과 삶의 질 향상도 함께 고려한 종합적인 도시 개발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개발제한구역 해제, 어떻게 가능했나?

정부의 규제 혁신과 기회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이번 사업의 주요 특징은 대규모 개발제한구역 해제가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이는 정부의 과감한 규제 혁신 덕분에 실현될 수 있었다.

2024년 2월에 발표된 '개발제한구역 규제혁신 방안'에 따르면, 환경평가 1·2등급지의 해제가 가능해졌다. 단, 대체지를 지정하는 조건이 붙어 개발이 허용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변화는 앞으로의 개발 계획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전략사업 선정의 의미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울산의 수소 융복합밸리 조성사업은 최근 정책 변화 덕분에 지역 경제 발전과 특화된 산업 성장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 사업은 비수도권의 중요한 지역전략사업으로 자리잡았다.

2025년 2월에는 국무회의에서 심의가 진행되어 15개의 비수도권 국가·지역전략사업 중 하나로 최종 선정되었다. 이는 울산이 수소 산업을 육성하려는 의지와 잠재력을 국가적으로 인정받았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선정은 사업 추진에 있어 강력한 동력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1구역과 2구역, 어떻게 구성되나? (토지이용계획)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는 두 가지 주요 구역으로 나뉘어 개발될 예정이다.

토지 이용 계획에 따르면, 첫 번째 구역은 '공공시설존'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두 번째 구역은 '산업단지존'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구획을 통해 보다 체계적인 공간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1구역(공공시설존): 연구와 시민 편의를 위한 공간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1구역은 시민 편의를 위한 다양한 시설로 구성된다. 연구단지와 같은 산업 부지 외에도 만남의 광장, 공원, 유수지, 도로 등 필수 기반 시설이 마련될 계획이다. 특히, 154,279㎡ 규모의 만남의 광장이 문수체육공원 방문객들의 주차 문제를 크게 해결할 것으로 기대된다.

2구역(산업단지존): 일과 삶이 공존하는 복합 공간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2구역은 다양한 기능이 융합된 중심 공간으로, 산업, 주거, 상업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 지역의 산업시설용지는 전체 면적의 약 28.3%를 차지하며, 수소 관련 기업들이 이곳에 입주할 예정이다.

주거시설 역시 중요한 요소로, 약 9.1%에 해당하는 면적에는 단독주택과 공동주택이 조성되어 약 8,111명의 인구를 수용할 계획이다.

더불어 지원시설, 상업시설, 학교, 공원, 녹지 등이 고르게 배치되어,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루는 직주근접형 복합단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가 가져올 미래와 기대효과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개발 사업은 이 지역의 산업 구조를 혁신하고 미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이니셔티브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수소 산업의 중심지를 구축하여 관련 기업을 유치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결국, 이는 지역 경제에 신선한 활력을 제공할 것이다.

개발제한구역의 체계적인 활용을 통해 부족했던 도시 인프라를 보강하고, 시민들에게 더욱 쾌적한 주거 환경과 여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가 예상된다.

이와 같은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통해 울산이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적인 수소산업의 중심 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조성사업 도시관리계획(GB해제) 결정(변경) 전략환경영향평가

image

1. 계획의 개요

1.1 계획의 배경 및 목적



○ 개발제한구역 규제혁신 방안(2024.02)에 따라 종전에는 개발제한구역 해제가 불가능했던 환경평가 1·2등급지에 대해 대체지 지정을 조건으로 해제가 가능하도록 「광역도시계획 수립지침」 및 「개발제한구역의 조정을 위한 도시군관리계획 변경안 수립 지침」이 개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지역경제 활성화 및 특화사업 육성 등 지역의 균형발전에 기여도가 높은 사업을 중심으로 지역전략사업이 선정되었음

○ 이후 국무회의 심의(2025.02.25)를 통해 개발제한구역 내 비수도권 국가·지역전략사업 15개 지구가 선정되었으며, 본 계획지구는 미래 신산업(수소산업 등) 육성과 정주여건, 도심형 산업기능이 연계된 복합형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울산권 지역전략사업으로 포함되었음

○ 본 계획지구는 수소산업 관련 기업 및 연구시설 확충을 통해 울산의 미래 신산업 기반을 조성하고 문수체육공원의 주차난 해소 및 청년복합공간 조성을 통해 도심과 연계된 직주근접형 자족경제 기반 구축을 목적으로 금회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추진하고자 함

1.2 계획의 내용


가. 사 업 명 :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조성사업 도시관리계획(GB해제) 결정(변경)
나. 위 치 : 울산광역시 남구 옥동·두왕동, 울주군 청량읍 문죽리 일원
다. 계획규모 : 2,175,440㎡ (개발제한구역 해제 면적 : 2,164,135㎡)
라. 사업시행자 : 울산도시공사
마. 계획수립기관 : 울산광역시
바. 승인기관 : 국토교통부
사. 협의기관 : 환경부
아. 계획수립기간 : 2024년 ~ 2032년
자. 사 업 비 : 약 9,709억원

image


차. 사업내용
도시관리계획(개발제한구역) 결정(변경) 조서
○ 본 계획지구는 개발제한구역 규제혁신 방안 후속 조치인 비수도권 국가·지역전략사업으로 선정됨
○ 또한, 수소산업 관련 기업체 및 연구시설 확충을 통해 수소 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조성하고, 문수체육공원 주차문제 해소 및 청년복합공간 조성 등으로 정주여건을 강화하고자 개발제한구역 일부 해제를 계획함



image

<표 1.2-1> 도시관리계획(개발제한구역) 결정(변경) 조서

구분구역명위치면적(㎡) 당초면적(㎡) 변경면적(㎡) 증·감비고
변경울산광역시 개발제한구역울산광역시 일원268,528,450266,364,315감 2,164,135-


주) 울산광역시고시 제2023-311호(2023.12.28.)
<표 1.2-2> 도시관리계획(개발제한구역) 결정(변경) 사유서

구분위치면적(㎡)변경 사유
변경울산광역시 남구 옥동, 두왕동 일원2,164,135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조성을 위해 개발제한구역 일부를 해제



토지이용계획
가) 기본방향
○ 본 계획지구는 개발제한구역 규제혁신 방안의 후속 조치로 비수도권 국가·지역전략 사업에 선정되었으며, 수소산업 관련 기업과 연구시설을 확충하고 핵심 거점으로 조성하기 위해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하여 지역 성장을 도모하고자 함
○ 토지이용계획은 1구역(공공시설존), 2구역(산업단지존)으로 구분하여 산업시설용지, 상업시설용지, 공공시설용지 및 주거시설용지 등으로 구분하여 계획함

image

<표 1.2-3> 토지이용계획(안)

구분면적(㎡)구성비(%)비고
총계2,175,440100.0
합계749,73734.5
산업(연구단지)112,1785.2
만남의 광장(주차장)154,2797.1
공공시설237,23010.9
주차장5,1950.2
공원153,0197.0
유수지14,9940.7
녹지32,3041.5
도로40,5381.9
합계1,425,70365.5
주거시설용지196,9349.1
단독주택23,3601.1
공동주택173,5748.0
산업시설용지614,87928.3
지원시설용지12,2810.6
상업시설용지31,8411.5
공공시설용지569,76826.2
도로235,80710.8
주차장31,922 (21,524)1.5 (1.0)() : 유수지 중복
공원100,9554.6
녹지154,6367.1
유수지10,375 (31,011)0.5 (1.4)() : 주차장 중복 면적 합
배수지9,4450.4
하천12,0610.6
학교14,5670.7
image


image


계획지구 구역경계 설정 및 사유
○ 인문적 요인 : 용도지역, 도시계획시설 경계 등 고려, 연접화 방지 고려
○ 환경적 요인 : 지형의 능선 및 철탑의 위치 등 고려
<표 1.2-4> 구역경계 설정 및 사유

구분1구역(공공시설존)구분2구역(산업단지존)
개발제한구역 및 도시계획도로 경계도시계획도로 경계
광장 및 도시계획도로 경계개발제한구역 및 도시계획도로 경계
광장 및 도시계획도로 경계테크노 일반산업단지 경계
--광장 및 지형(능선) 경계
image
1.3 사업의 추진경위 및 계획



가. 추진경위
○ 2024. 02. 21 : 개발제한구역 규제혁신 방안 발표
광역도시계획수립지침 및 개발제한구역의 조정을 위한 도시군관리계획 변경안 수립 지침 개정
○ 2024. 04. 17 : 지역전략사업은 환경평가 1·2등급지에 대한 대체지 지정을 조건으로 해제 가능
○ 2024. 07. :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조성사업 시행 의뢰 (울산광역시→울산도시공사)
○ 2024. 09. :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 착수 (울산도시공사)
○ 2024. 09. ~ 11. : 관내·외 기업체 대상 산업용지 입주 수요조사 (울산도시공사)
○ 2024. 10. : 도시관리계획(개발제한구역 해제) 용역 착수 (울산도시공사)
○ 2025. 02. :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 착수
○ 2025. 02. 25 : 비수도권 국가·지역전략사업 15개 지구 선정 (국토교통부)
울산권(3), 부산권(3), 대구권(1), 광주권(3), 대전권(1), 청원권(4)

사업명GB면적사업종류
수소융·복합밸리 산단2,786,542㎡일반산단(수소산업 관련)


○ 2025. 03. :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고시 (울산광역시)
○ 2025. 07. 10 ~ 08. 06 : 환경영향평가협의회 심의위원 구성 및 심의 (울산광역시)
나. 향후계획
○ 2025. 08. : 전략환경영향평가항목등의 결정내용 공개 (울산광역시 홈페이지, EIASS)
○ 2025. 10. : 전략환경영향평가서 및 기후변화영향평가서 초안 제출
○ 2025. 10. ~ 11. : 전략환경영향평가서(초안) 공고·공람 및 주민의견 수렴
○ 2025. 12. : 전략환경영향평가서 협의 요청

image
울산테크노일반산업단지 : 울산광역시 남구 두왕동





#울산, #수소융복합밸리, #수소산업, #울산개발, #개발제한구역해제, #그린벨트해제, #지역전략사업, #울산옥동, #울산두왕동, #울산청량읍, #울산남구, #울주군, #울산도시공사, #미래신산업, #산업단지, #직주근접, #도시개발, #부동산, #환경영향평가, #토지이용계획, #문수체육공원, #청년복합공간, #경제활성화, #일자리창출, #울산투자, #수소경제, #에너지전환, #국가전략사업, #도시계획, #울산부동산


자주 묻는 질문(FAQ)

Q.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조성사업의 주요 개요는 무엇인가요?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는 약 2,175,440㎡ 부지에 9709억원 투입, 2024~2032년 추진되는 대규모 프로젝트입니다.

이 사업은 울산광역시 남구 옥동·두왕동과 울주군 청량읍 문죽리 일원에 약 2,175,440㎡의 부지를 대상으로 하며, 이 중 2,164,135㎡가 개발제한구역 해제 면적입니다. 총 사업비는 약 9,709억원으로 책정되었고, 울산도시공사가 시행을 맡아 2024년부터 2032년까지 진행할 예정입니다. 울산의 미래 신산업 중심지로서 수소 산업 관련 기업과 연구 시설 배치를 목표로 합니다.

Q.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사업의 핵심 목표는 무엇인가요?
수소산업 관련 기업과 연구시설 확충, 도시 기능 융합, 주차난 해소, 청년 공간 조성이 핵심 목표입니다.

본 사업은 수소 산업 관련 기업 및 연구 시설을 대폭 늘려 울산을 미래 신산업 중심지로 육성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합니다. 또한, 문수체육공원의 주차 문제를 해결하고 청년을 위한 복합 공간을 조성해 도심과 연결된 직주근접형 자족경제 기반 구축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산업 육성뿐 아니라 시민 생활 환경 개선과 삶의 질 향상까지 아우르는 종합 도시 개발 전략입니다.

Q. 개발제한구역 해제가 이번 사업에서 어떻게 이루어졌나요?
정부 규제 혁신으로 환경평가 1·2등급지 대체지 조건 하에 개발제한구역 해제가 가능해졌습니다.

2024년 2월 발표된 개발제한구역 규제혁신 방안에 따라, 기존에는 해제 불가능했던 환경평가 1·2등급지에 대해 대체지를 지정하는 조건으로 개발제한구역 해제가 허용되었습니다. 이러한 규제 완화와 정책 변화 덕분에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사업의 대규모 개발제한구역 해제가 가능해졌으며, 이는 지역 경제 활성화 및 특화사업 육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Q.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내 토지이용 계획은 어떻게 구성되나요?
1구역은 공공시설존, 2구역은 산업단지존으로 나누어 산업, 주거, 상업 복합 공간으로 계획됩니다.

토지이용계획에 따르면, 1구역은 공공시설존으로 연구단지, 만남의 광장, 공원, 도로 등 시민 편의 시설이 들어설 예정입니다. 2구역은 산업단지존으로 산업시설용지 약 28.3%, 주거시설 약 9.1%를 포함해 약 8,111명의 인구를 수용하는 단독·공동주택, 상업시설, 학교, 공원 등 다양한 지원시설이 조성됩니다. 이를 통해 직주근접형 복합단지로서 산업과 삶이 균형을 이루도록 설계됩니다.

Q.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사업이 지역에 미칠 기대효과는 무엇인가요?
수소 산업 중심지 구축, 일자리 창출, 도시 인프라 확충 및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이 기대됩니다.

이 사업은 울산 내 수소 산업 거점 구축으로 관련 기업 유치와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통한 도시 인프라 보강과 문수체육공원 주차난 해소, 청년 복합 공간 조성 등으로 쾌적한 주거환경과 여가 공간 제공이 가능해집니다. 장기적으로 울산은 국내는 물론 세계적인 수소산업 중심 도시로 자리매김할 전망입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