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벤츠 E 350, EQE 350, 현대 쏠라티, 만트럭, 르노 SM6 리콜 대상 확인하는 방법과 자발적 시정조치 안내


최근 자동차 리콜, 어떤 차종이 대상인가?

image

국토교통부는 2025년 8월을 기준으로 총 24,555대의 차량에 대해 자발적인 시정조치, 즉 리콜을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리콜은 벤츠, 현대자동차, 만트럭버스코리아, 르노코리아 등 4개 제조사에서 생산한 21개 차종을 포함하며, 주요 결함으로는 주행 중 시동 꺼짐, 휠 너트 풀림, 제동거리 증가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우려되는 사항이다.

이와 같은 조치가 시행되어 운전자의 안전이 보다 확실히 보장되기를 기대한다.

image


차량 소유자라면 자동차 리콜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자동차 리콜 센터 웹사이트인 www.car.go.kr 또는 m.car.go.kr에 접속해, 차량 번호나 차대 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이를 통해 리콜 대상인지 간편하게 알아볼 수 있다.





벤츠 E 350, EQE 350 등 5개 차종 – 엔진 및 배터리 관리시스템 오류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가 판매된 차량 중 17,480대를 대상으로 리콜을 진행한다. 이 중 16,957대가 실제 판매량에 해당한다.

image


E 350 4MATIC (제조기간: 2021년 2월 2일부터 2023년 9월 27일까지) 모델은 엔진 제어 소프트웨어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행 도중 시동이 꺼질 위험이 존재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차명(형식)결함장치제작일자대상대수
E 350 4MATIC엔진제어장치(엔진 컨트롤 유닛)* 엔진제어장치 소프트웨어 오류로 주행 중 시동이 꺼질 가능성`21.02.02.~`23.09.27.16,9552(미판매)
합 계16,957

image

EQE 350, 500, AMG EQE 53, EQS 450, EQS 580 모델(2023년 이후 생산)에서는 고전압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오류로 인해 차량이 갑자기 정지할 위험이 존재한다. 이 점에 유의해야 한다.



차명(형식)결함장치제작일자대상대수
EQE350 4MATIC고전압배터리 관리시스템* 고전압배터리 관리시스템 오류로 시동이 꺼질 가능성`23.04.10.~`24.02.28.2546(미판매)
EQE 500 4MATIC`23.02.15.~`23.10.19.1791(미판매)
AMG EQE 534MATIC`23.02.23.1
EQS 450 4MATIC`23.08.04.~`23.10.26.67
EQS 580 4MATIC`23.09.01.~`24.09.29.15
합 계523


해당 리콜은
7월 25일부터 서비스센터를 통해 무상 시정조치
가 진행되고 있다.





현대 쏠라티, 스타리아 카고 – 휠 너트 체결 불량

현대차는 휠 고정 너트의 체결 문제로 인해 5,974대의 차량에 대해 리콜을 결정했다. 이 중 쏠라티는 3,278대, 스타리아 카고는 2,696대가 포함된다.



image

제작 일정은 다음과 같다. 쏠라티는 2015년 9월 29일부터 2025년 4월 23일까지 생산되며, 스타리아 카고는 2022년 12월 9일부터 2025년 4월 21일까지 제작된다.

결함 사항으로는 주행 중 너트가 풀리게 되면 휠이 이탈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는 주의가 필요하다.

차명(형식)결함장치제작일자대상대수
쏠라티휠* 휠 고정용 너트 체결 불량으로 주행 중 너트가 풀려 휠이 이탈할 가능성`15.09.29.~`25.04.23.3,278
스타리아 카고`22.12.09.~`25.04.21.2,696
합 계5,974

리콜은 7월 31일에 시작되며, 인근 블루핸즈나 서비스센터에서 무료 수리를 받을 수 있다.







만트럭 TGM·TGX·TGS 등 11개 차종 – 주간주행등 작동 오류

만트럭버스코리아는 643대의 트럭에서 주간주행등에 결함이 발견되어 리콜을 실시하기로 했다. 이번 리콜은 8월 11일부터 시작된다. 이로 인해 차량 소유자들은 안전한 운행을 위해 점검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image

안전 기준 위반 사항으로, 방향지시등이 작동한 후 주간주행등이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

해당 결함은 TGM 카고 모델은 2021년 11월 12일부터 2023년 12월 14일까지, TGX 트랙터는 2020년 2월 19일부터 2024년 2월 16일까지 제작된 차량에 해당된다.

이 외에도 TGL 및 TGS 시리즈가 포함되어 있다.

차명(형식)결함장치제작일자대상대수
TGM 카고(TGM 18.320 4x2 BL CH)주간주행등* 방향지시등 작동 후 주간주행등이 정상 작동되지 않는 안전기준 부적합`21.11.12~`23.12.14167
TGX 트랙터(TGX 28.510 6x2=2 BL SA)`20.02.19~`22.08.09124
TGL 카고(TGL 10.190 4x2 BL CH)`21.10.21~`24.01.31107
TGM 카고(TGM 18.290 4x2 BL CH)`21.11.22~`23.12.15101
TGS 카고(TGS 35.510 8x4-4 BL CH)`21.01.19~`22.05.2532
TGS 카고(TGS 44.510 10x4-6 BL CH)`21.10.22~`22.06.2130
TGX 트랙터(TGX 28.470 6X2=2 BL SA)`20.11.20~`24.02.1629
TGM 카고(TGM 26.320 6x2-4 BL CH)`21.12.01~`24.04.0620
TGS 카고(TGS 28.430 6x2=2 BL CH)`21.01.14~`22.06.3017
TGS 카고(TGS 33.470 6X4 BB CH)`20.12.10~`22.08.1015
TGX 카고(TGX 44.510 10x4-6 BL CH)`21.02.26~`21.04.271
643



운전자 안전과 직결되는 전조등 오류인 만큼, 빠른 조치가 요구된다.





르노 SM6, XM3 – 진공펌프 불량으로 제동거리 증가 우려

르노코리아는
총 458대
에 대해 리콜을 시행한다.

image


SM6 모델은 2023년 2월 7일부터 4월 27일 사이 제조되었고, XM3는 2023년 1월 31일부터 5월 10일 사이에 생산되었다.

이들 차량의 결함 원인은 진공펌프의 제조 결함으로 인해 제동거리가 늘어나 사고의 위험이 증가하는 문제이다.

차명(형식)결함장치제작일자대상대수
SM6진공펌프* 진공펌프 제조 불량으로 제동거리가 길어질 가능성`23.02.07.~`23.04.27.237
XM3`23.01.31.~`23.05.10.221
합 계458

르노는 8월 11일부터 리콜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고객들은 문자와 우편으로 관련 정보를 받고 있다.





리콜 대상 여부 확인 방법



image

리콜 여부가 궁금하다면, 자동차리콜센터의 공식 홈페이지나 모바일 사이트(m.car.go.kr)에 방문해 보기를 권장한다. 차량번호 또는 차대번호(VIN)를 입력하면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결함을 개인적으로 수리한 경우에는 자동차관리법 제31조의2에 따라 제작사로부터 수리 비용을 환급받을 수 있는 기회가 있다.




제작사별 고객센터 안내

제조사고객센터 전화번호
벤츠코리아☎ 080-001-1886
현대자동차☎ 080-200-6000
만트럭버스코리아☎ 080-661-1472
르노코리아자동차☎ 080-300-3000






결론: 리콜은 곧 안전이다

image

리콜은 결함이 발생한 차량을 무료로 수리받을 수 있는 제도이다. 이는 운전자와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로, 특히 시동 꺼짐, 휠 이탈, 제동 불량 등 중대한 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결함은 신속히 확인하고 해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지금 즉시 자동차리콜센터를 통해 내 차량의 리콜 여부를 점검하고, 안전한 운전을 위한 첫 단계로 나아가자.






#자동차리콜, #리콜확인방법, #벤츠E350리콜, #EQE350리콜, #현대쏠라티리콜, #만트럭리콜, #르노SM6리콜, #자동차결함, #시정조치, #자동차리콜센터, #국토교통부, #차량제작결함, #리콜대상조회, #차량번호조회, #차대번호조회, #리콜대상차종, #2025자동차리콜, #차량무상수리, #자동차안전점검, #주행중시동꺼짐, #휠이탈위험, #제동거리증가, #주간주행등오류, #리콜보상제도, #리콜신청방법, #벤츠리콜대상, #현대자동차리콜, #르노리콜정보, #만트럭리콜대상


자주 묻는 질문(FAQ)

Q. 2025년 리콜 대상인 벤츠 주요 차종과 결함은 무엇인가요?
벤츠 E 350, EQE 350 등 5개 차종이 엔진 및 배터리 관리시스템 문제로 리콜 대상입니다.

2025년 리콜 대상 벤츠 차종은 E 350 4MATIC, EQE 350, EQE 500, AMG EQE 53, EQS 450, EQS 580 모델 등입니다. E 350은 엔진 제어 소프트웨어 오류로 주행 중 시동이 꺼질 위험이 있으며, EQE 시리즈와 EQS 모델은 고전압 배터리 관리 시스템 결함으로 갑작스러운 차량 정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들 때문에 17,480대 차량이 무상 시정조치를 받게 됩니다.

Q. 현대 쏠라티와 스타리아 카고 리콜 원인과 시정 조치 일정은 어떻게 되나요?
휠 너트 체결 불량으로 쏠라티와 스타리아 카고가 리콜 대상이며 2025년 7월 31일부터 무상 수리가 시작됩니다.

현대차 쏠라티(2015년~2025년 생산)와 스타리아 카고(2022년~2025년 생산)는 휠 고정 너트 체결 불량으로 인해 주행 중 휠 이탈 위험이 존재합니다. 이에 따라 5,974대에 대해 2025년 7월 31일부터 인근 블루핸즈나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조기에 점검과 수리를 받는 것이 안전 운행에 필수입니다.

Q. 만트럭서 한국에서 리콜하는 차종과 결함 내용은?
TGM, TGX, TGS 등 11개 차종 643대가 주간주행등 작동 오류로 리콜을 받습니다.

만트럭버스코리아의 TGM 카고(2021년~2023년), TGX 트랙터(2020년~2024년), TGL 및 TGS 시리즈 총 11개 차종 643대는 주간주행등이 방향지시등 작동 후 켜지지 않는 안전기준 위반 결함이 발견됐습니다. 이는 전조등 오류로 안전에 직접 영향을 미치므로 2025년 8월 11일부터 무상 점검과 수리가 진행됩니다.

Q. 르노코리아 SM6와 XM3의 리콜 사유와 대응 방안은 무엇인가요?
진공펌프 결함으로 제동거리가 늘어나 사고 위험이 있어 458대가 리콜 대상입니다.

르노코리아의 SM6(2023년 2~4월 생산)와 XM3(2023년 1~5월 생산) 차량은 진공펌프 제조 결함으로 인해 제동거리가 증가해 제동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견되었습니다. 이에 458대가 2025년 8월 11일부터 무상리콜 실시 중이며, 고객들은 문자와 우편으로 안내받아 서비스센터 방문해 안전하게 점검받을 수 있습니다.

Q. 내 차량이 리콜 대상인지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자동차리콜센터 웹사이트 또는 모바일에 차량 번호나 차대번호를 입력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리콜 여부는 자동차리콜센터 공식 홈페이지(www.car.go.kr) 또는 모바일 사이트(m.car.go.kr)에서 차량 번호나 차대번호(VIN)를 입력하면 즉시 확인 가능합니다. 간편한 조회를 통해 리콜 대상 차량은 무료로 수리를 받을 수 있으며, 결함을 개인이 수리했을 경우 제작사에 수리비 환급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أحدث أقدم